간편한 네트워크 HDD「젠네트웍스 젠디스크」

일반입력 :2004/07/12 16:50

김지현

젠디스크의 NDAS(Network Direct Attached Storage)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 하드디스크는 이미 2003년 10월경에 출시된 제품이다. 출시된 후 꽤나 시간을 지난 이 제품을 리뷰하는 이유는 지난 4월에 새로운 모델이 출시되고 또 5월에는 멀티 라이팅(Multi Writing)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됐기 때문이다. 소호 사무실과 소규모 팀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파일서버로 손색없는 네트워크 하드디스크의 이모저모를 살펴보자.

NDAS?

각종 데이터를 공유하고 백업, 저장해야 하는 일이 빈번한 사무실에서는 특정 컴퓨터를 파일서버로 세팅을 해서 사용한다. 물론 자금이 확보된 회사라면 웹서버, 메일서버처럼 일반 데스크톱이 아닌 전용 서버로 파일서버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렇게 구성된 파일서버에 저장된 파일은 내부 네트워크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외부에서도 연결하여 내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처럼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파일의 공유와 공동 작업을 위해 파일서버를 이용한다.

하지만 파일서버를 구축하는 데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파일서버로 사용할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그 시스템에 장착된 하드디스크가 공용 스토리지로 이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가리켜 NAS라고 한다.

NDAS는 NAS와 달리 컴퓨터가 필요 없다. 하드디스크를 직접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컴퓨터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비용을 절감해준다. 또한 복잡한 OS 설치와 설정 없이 쉽게 네트워크에서 하드디스크를 공유할 수 있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젠디스크는 NDAS 기술을 이용해 하드디스크를 네트워크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단 NAS에 사용되는 컴퓨터처럼 똑똑하고 강력한 시스템이 뒷받침해주지 않기 때문에 완벽한 네트워크 스토리지로서 동작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간단한 파일 공유를 위한 저장장치로서 가격대비 성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아담한 크기, 매력적인 디자인

젠디스크는 3가지 모델이 시판되고 있다. 젠디스크, 젠디스크 미니, 젠디스크 오피스가 그것이다. 젠디스크는 3.5인치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제품이며, 젠디스크 미니는 휴대하기 쉽게 구성된 작은 크기의 제품으로 노트북용 하드디스크인 2.5인치를 이용한다. 젠디스크 오피스는 젠디스크의 NDAS 기능 외에 8포트 이더넷 스위치를 내장한 제품이다.

아담한 크기의 젠디스크는 책상 위에 올려놓기에도 제격이다. 알루미늄 재질의 수려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발열과 소음 수준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패시브 쿨링 타입의 냉각 방식을 이용해 냉각팬이 아예 없다.

젠디스크의 아랫면은 충격 완화와 안정적인 동작을 위한 고무 패드가 부착되어 있다. 젠디스크는 모델에 따라 80GB부터 250GB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량이 판매되고 있다. 젠디스크 아랫면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용량이 표시되어 있으며 젠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증키가 스티커로 부착되어 있다. 인증키는 분실하지 않도록 별도로 메모해서 저장해두는 것이 좋다.

젠디스크가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는 USB와 이더넷이다. 그 외에 젠디스크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는 전원 스위치와 전력을 연결할 수 있는 DIN 커넥터가 제공되고 있다. 즉 젠디스크는 랜 케이블을 이용해 네트워크에 직접 스토리지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USB 인터페이스로 PC와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2개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연결할 경우 이더넷은 지원되지 않고 USB로 동작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연결할 경우 스위칭 기능이 내장된 허브를 이용하거나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한다. 주의할 것은 일부 스위칭 허브와는 호환되지 않는다는 점. 이더넷으로 연결 시에 젠디스크 드라이브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실제 테스트에서 3COM 스위치 허브에 연결되지 않아 인터넷 공유기로 연결해야 했다.

참고로 젠디스크에 내장된 하드디스크는 맥스터 제품으로 7200RPM, 버퍼 메모리 2MB~4MB를 내장한 것이다. 이 하드디스크는 다른 하드디스크로 교체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임의로 젠디스크를 분해하면 A/S를 받을 수 없으므로 주의하자.

편리한 사용법, 무난한 성능

젠디스크를 연결한 후에 함께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젠디스크는 젠디스크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마치 내 컴퓨터에 장착된 다른 하드디스크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 젠디스크와 같은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 컴퓨터에 젠디스크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인증키를 등록해야 한다.

젠디스크는 장치관리자의 디스크 드라이브와 'RAID 컨트롤러'에 등록된다. 드라이버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면서 자동으로 설치된다.

젠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결한 젠디스크의 인증 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특히 젠디스크에 연결하여 파일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쓰기 인증키도 같이 기입해줘야 한다.

젠디스크는 한 개가 아닌 여러 개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설치된 젠디스크는 젠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젠디스크는 2가지의 특별한 기능을 제공한다.

우선 젠디스크를 2개 이상 사용할 경우 미러링 기능을 이용해 다른 젠디스크에 자동으로 파일을 자동 백업이 가능하다. 또한 레이드처럼 여러 개의 물리적 젠디스크 드라이브를 논리적으로 하나의 드라이브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젠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에서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젠디스크 드라이브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처럼 내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지난 5월에 업그레이드된 '젠디스크 멀티라이팅'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젠디스크에 연결하여 동시에 파일 기록이 가능하다. 이전의 소프트웨어에서는 동시 기록이 안되기 때문에 특정 컴퓨터에서 파일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쓰기 권한을 가진 다른 컴퓨터에서 권한을 위임받아야 했다.

젠디스크의 전송속도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경우와 이더넷을 이용한 경우에 따라 다르다. USB의 경우 2.0 버전을 이용하여 연결할 경우 이론적으로는 약 480Mbps(60MB/s)이지만 실질적으로는 30MB/s 정도이다. 또한 이더넷을 이용할 경우에는 100Mbps가 최대 전송속도로 약 12MB/s 정도이다.

물론 네트워크 환경과 스위칭 허브의 성능에 따라 10MB/s 정도도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전문적인 파일 서버로 사용하기에는 사실 다소 속도가 느린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아닌 일반 데이터 파일을 공유하기에 무난하다.

젠디스크는 파일서버를 세팅해서 사용하기 부담스러운 소규모의 회사나 팀단위로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하기 때문에 파일 공유와 협업이 잦은 부서에서 사용하기 좋다. 하지만 전문 파일서버와 비교해서 파일의 전송속도가 느리고 외부 네트워크에서는 젠디스크에 연결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