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색깔 PC튜닝「쿨러마스터 튜닝용품 3종」

일반입력 :2003/09/30 00:00

정우석

PC 튜닝은 수년정도 전만 해도 전문 매니아들의 전유물이었다. 재료가 딱히 나와있는 것도 아니고, 누가 가르쳐 주는 것도 아니었다. 스스로 재료를 찾고 연장을 장만해 목공소 등에서 개조해야 했다. 그러나 이제는 과거에 매니아들이 멋들어지게 개조한 케이스들이 아예 제품화되어 나오고 있다. 지금 소개하는 쿨러마스터사의 튜닝용품 3종은 멋진 외관을 자랑하는 5.25인치 베이용 제품이다.

에어로게이트(Aerogate) I

에어로게이트 I은 4개의 팬 컨트롤 다이얼이 배치된 제품이다. 아주 깔끔하게 다이얼 4개와 백라이트의 색을 변경하는 작은 컬러변경 버튼이 보인다.

전원이 들어가면 4개의 다이얼 주위에 백라이트가 들어온다. 컬러변경 버튼을 누르면 이 백라이트의 색을 파랑, 빨강, 노랑으로 바꿀 수 있다.

케이블은 전원연결선 1개와 각 채널의 번호가 메겨져 있는 팬 컨트롤선 4개이다. 특히 1번 케이블은 3가닥의 전선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작동 여부를 메인보드에서 감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에어로게이트(Aerogate) II

에어로게이트 II는 I에 비해 훨씬 복잡해 보인다. 다이얼과 6개의 버튼들이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고 중앙에는 LCD가 장착돼 있다. 왼쪽에 보이는 것은 공기 흡입구이다. 오른쪽의 버튼들은 크게 무광처리된 'COLOR', '℃/℉' 두 개의 버튼과 광택처리된 VGA, HDD, CPU, CASE으로 버튼으로 나뉜다.

컬러 버튼을 누르면 다이얼의 백라이트의 색이 변하는 것은 I과 똑같지만 색이 모두 7가지나 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제품의 뒷면에는 쿨링팬과 수많은 핀들이 보인다. 좌측 상단의 핀은 전원공급용 핀으로, 플로피 디스크 전원선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아래에 총 4쌍의 핀들이 보인다. 자세히 보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FAN1~4까지 표시가 되어 있다. 이것이 전면부의 4개 버튼과 연결되는 것으로, FAN1은 CPU, FAN2는 VGA, FAN3는 HDD, FAN4는 CASE에 각각 대응된다. FAN3는 제품에 내장된 쿨링팬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를 빼고 원하는 팬과 연결해도 무방하다.

센서를 모두 연결하고 PC의 전원을 켜면 중앙의 LCD에 정보가 표시된다. 위에는 현재 해당 채널명이 나오고, 왼쪽에는 온도가, 오른쪽에는 해당 팬의 회전수가 표시된다. 제품 우측의 다이얼을 돌리면 회전수가 바뀐다. 각 채널의 회전수는 자체적으로 기억되기 때문에 매번 번거롭게 맞춰주지 않아도 된다. 또한 만약 문제로 인해 해당 채널이 감지되지 않으면 점멸과 동시에 비프음을 내도록 설정돼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쿨링팬에 바로 붙어있는 8개의 핀들이 보인다. 이는 온도센서를 연결하는 핀인데, 온도센서마다 2개씩의 핀을 사용하기 때문에 총 4가지 기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머스키티어 LLC-U02

머스키티어는 상대적으로 기능성보다 멋들어진 아날로그풍 디자인에 신경을 쓴 제품이다. 좌측부터 팬 속도 계기판. 음압 조절/측정 계기판, 온도측정 계기판이 자리잡고 있다.

전원이 들어온 상태에서 왼쪽의 레버를 조절하면 6V~11V까지 해당 팬에 들어가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팬의 회전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바늘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중앙의 레버는 볼륨을 조절한다. 음악을 재생하면 그에 따라 계기판의 바늘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맨 우측의 온도측정창은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표시한다.

제품 후면부의 단자들과 같이 제공된 케이블들을 보면 다른건 쉽게 이해가 가는데 VU 부분이 다소 아리송하다. 이를 연결하려면 우선, 시스템의 사운드 아웃 단자와 머스키티어와 함께 제공되는 슬롯 설치용 VU 허브의 'IN' 단자를 연결하고 VU 허브에 달린 선을 제품 후면부의 VU 잭에 연결해야 한다. 스피커는 VU 허브의 ‘OUT' 단자와 연결하면 된다.

세 제품 모두 디자인이 아주 뛰어난 제품이다. 4~6만원 근처에서 구입할 수 있어 가격적인 부담도 적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PC 튜닝 마니아나 오버클러커 등에 한정된 느낌이 강하다. 앞으로 USB나 IEEE1394 전면 허브, 메모리 리더기 등의 기능성도 강화되길 기대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