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0 년대 인터넷 붐과 통신 시장 개방 등의 영향으로 데이터 서비스가 급속히 확산되고, 기존 음성 위주의 통신 서비스보다는 음성과 데이터가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반 네트워크 또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로의 변화가 필요하게 됐다. 이런 시장 환경과 요구에 의해 NGN(Next Genera tion Network)이 제시돼 유선 네트워크에 먼저 적용되긴 했으나, 궁극적으로 NGN이 추구하는 개념과 목적은 유무선 가입자 액세스 특성과 관계없이 자유롭게 적용되는 통합 네트워크 구조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무선과 데이터의 통합 서비스, 유선과 무선 통합 서비스, 유선·무선·데이터의 통합 서비스 모두 가능하게 한다. 이때 반드시 유무선 통합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더라도 서비스 계층에서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미 서비스 상용화가 이뤄진 무선 LAN 서비스도 유무선 서비스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지능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의 확장 통한 유무선 통합유무선 통합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에 앞서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합 서비스와의 구분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지능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의 확장현재 네트워크 구조는 그대로 두는 대신, 지능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을 확장시켜 서비스 관점에서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 NGN 통합 네트워크의 구축 현재 각각 별개로 존재하는 유선,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하나의 NGN 통합 네트워크로 구축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 다양한 서비스 제공 : 멀티미디어, 유무선 통합 서비스네트워크 통합 기반 환경에서는 서비스가 공통 제어장치를 바탕으로 제공돼 다양하고 유연한 통합 서비스 기반을 마련한다.
-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영과 관리각각 분산돼 운영·관리되던 네트워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함으로써 그에 따른 네트워크 운영과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각각의 네트워크 특성을 복잡하게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서비스 장애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림 1)에서 제시된 방법의 경우, 기존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새롭게 추가된 응용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간의 인터랙션 처리 문제가 다소 복잡할 수 있다. 하지만 통합 네트워크의 경우 그런 문제가 비교적 적다.
-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활용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회의 통화, 안내방송은 물론, TTS(Text-To-Speech), VRS(Voice Recognition Service), VXML(Voice-XML)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다.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이런 장비들을 공유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자원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 다양한 형태의 호 처리를 위한 하나의 호 처리 모델유선 호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와 무선 호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에는 차이가 있다. 소프트스위치가 통합 네트워크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소프트스위치가 제어하고자 하는 여러 종류의 액세스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공통적인 호 제어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 원 베이스 플랫폼(하드웨어, 미들웨어 포함)하나의 소프트스위치 제품이 다양한 액세스 형태의 호와 미디어 제어를 수행하려면 하드웨어와 미들웨어 또한 동일해야 한다. 여기서의 미들웨어란 운영과 유지를 위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관련 소프트웨어 등을 말한다.
- 다양한 프로토콜 처리다양한 액세스 형태를 지원하기 위해 소프트스위치는 각각의 액세스 장비와 단말들과의 연동은 물론, 다양한 응용 서버들과의 연동이 필요하다. 각각의 장비, 서버, 단말들과의 연동은 각각에 대한 연동 프로토콜을 통해 이뤄지므로 소프트스위치는 다양한 연동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하며, 프로토콜 간의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애플리케이션 공유유선이든 무선이든 그 특성과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일부 서비스에 대해 기존 네트워크에서는 동일한 소프트웨어가 각각 별도로 존재했다. 이에 반해, 통합 네트워크에서는 그런 서비스를 공통으로 사용해 자원 효율성과 운용, 관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통합 제어 장치로서 소프트스위치는 다양한 액세스 장비와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공통 서비스를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 서비스와 기능 인터랙션(그림 3)과 같은 통합 네트워크 구조에서는 대부분의 응용 서비스가 소프트스위치를 중심으로 처리되므로(소프트스위치에서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거나, 해당 응용 서버로 라우팅) 소프트스위치에서는 서비스와 기능 인터랙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떤 한 호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유선, 무선, 데이터 등) 간의 호이면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서비스와 기능 인터랙션은 복잡해진다. 각각의 사용자가 나름대로 다른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거나 사용중일 경우, 상황에 따라 서비스와 기능 인터랙션이 있으므로 통합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이런 부분에 대한 고려를 반드시 해야 한다.(그림 4)는 소프트스위치가 (그림 3)과 같은 통합 네트워크에서 공통 제어 플랫폼으로 적용되기 위해서 갖추고 있어야 할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