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기존에는 음성과 데이터로 구분돼 서비스가 이뤄졌기 때문에 네트워크도 별도로 가져갔다. 이에 따라 개별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유지에 중복 투자가 발생했었다. 이로 인한 신규 서비스 제공에 대한 유연성 부족 현상도 발생하는 등 비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시장에 만연해 있었다. 하지만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 움직임으로 인해 미디어와 서비스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이것은 IP를 기반으로 하는 단일 전달 체계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현상은 현재 인터넷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전달 망의 고속화와 단순화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어 기능을 강화해 IP 기반 단일 전달 망을 구성하는데 일조하게 될 것이다. 고속 인터넷,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미래의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십 테라급 이상의 통신 대역폭이 필요하다. 광 통신 기술의 발전은 이와 같은 요구 대역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할 전망이나 광 전송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축은 막대한 투자 비용이 발생할 것이어서 통신업체들 입장에서 부담스러운 사안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전달 망의 체계를 단순화하고,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능의 강화를 통해 최적의 전달 구조를 갖도록 해 전달 비용의 감소, 운용, 관리 비용의 감소를 유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달 망의 단순화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구현에 유리하며, 이는 곧 저렴한 가격에 적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향후 정보통신 시장은 기존 음성 전화 시장의 경쟁 체계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과거 음성 시장의 경우 시설 위주의 안정적 사업 환경을 제공했다. 인터넷은 여기에서 새로 확장되는 사업 부분이며, 사업 전개의 규제가 거의 없는 시장으로, 신규 ISP의 진출이 매우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분야다. 하지만 최근 음성 시장의 하락세와 신규 인터넷 시장의 폭발적 성장은 기존 통신업체와 신규 ISP들간 치열한 경쟁을 야기하고 있다. 전사적인 통합이 중요향후 인터넷 시장은 고급 컨텐츠를 위주로 하는 유료 서비스의 확대, 인터넷 접속 품질의 등급 분류를 통한 서비스의 다변화, 음성 서비스와 유사한 형태의 포인트 투 포인트 서비스로 확대될 전망이다. 즉, 인터넷 서비스는 음성 시장과 달리 수익원을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의 재생산을 통한 부가가치의 극대화도 도출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시장 환경에서 경쟁 우위 확보는 고속, 고품질 네트워크 인프라를 바탕으로 하되, 가입자들의 요구에 즉시 반응할 수 있는 서비스 관리 체계 확보를 통해 이뤄질 것이다. 유무선 통합은 유선과 무선 네트워크의 단순한 연동, 통합뿐만 아니라 유선통신 서비스와 무선통신 서비스 간의 마케팅,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나아가서는 서비스 업체 간의 통합까지 다양한 차원의 통합을 의미한다. 서비스 업체 측면에서 유무선 통합은 과거 별개의 네트워크와 유통채널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공되던 서비스들의 유통채널과 고객 관리를 통합하거나, 개별적 서비스들을 통합해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는 LAN/ADSL, 무선LAN, 블루투스, 이동통신 등 이종 네트워크간 연동과 음성, 데이터 모두를 IP 기반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유연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의 사용과 신규 서비스 제공이 용이하다. 음성 중심의 트래픽이 데이터 중심으로 전환되는 추세는 무선 시장에서도 마찬가지이나, 무선 시장은 아직 이동전화를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 네트워크의 기술적 한계와 단말기의 한계로 인해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유무선 통합의 분야별 역할을 따져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통합별개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제공되던 개별적인 서비스들이 하나의 상품으로 통합, 판매되는 것으로, 유선 ADSL/LAN, 이동통신망, 무선LAN 네트워크를 이용해 이동전화 서비스와 저속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그리고 고속의 고정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통합돼 하나의 상품으로 제공될 것이다. 이런 통합 서비스의 예로는 유무선 포털 서비스, UMS, 통합 VPN, 평생 번호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마케팅 통합개별 서비스의 고객에 대한 관리, 과금, 유통채널, 애프터서비스 등 마케팅 영역을 통합하는 것으로, 고객의 편이를 증대하면서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업체에게 경영 효율성을 제고해주는 일련의 작업이다. 통신업체 입장에서 고객 이탈을 방지하고, 고객 관리를 통해 1인당 매출액의 증대를 얻는데 필수 요소다. ·네트워크 통합이종 네트워크간 융합과 IP/IP over ATM 전송방식으로 전송 기술간의 통합을 이룸으로써 과거에는 불가능하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로써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비용 감소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다.·애플리케이션과 컨텐츠의 통합애플리케이션과 컨텐츠의 통합은 유선 인터넷의 컨텐츠를 무선에서도 이용하게 하는 기술이다. 최근 유선 인터넷의 HTML 문서와 모바일 인터넷의 WML이 XML 방식으로 통합돼 가고 있는 추세다. 향후에 완전한 유무선 통합을 위해 유무선 통합 브라우저도 필요하나, 아직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들간의 통합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서비스 업체 통합통신업체가 이동통신업체와 합병 등의 작업을 통해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이동통신업체가 통신업체를 합병 또는 인수해 유무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양사 간의 시너지 창출이라는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통신업체들의 사업 영역을 확대시키고 서비스 융합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무선 통합 시장에서의 경쟁이 본격화될 경우 국내에서도 이런 통신업체간의 통합은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주요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유무선 통합=개인 네트워크 통합유무선 네트워크의 통합은 기존의 유선 음성, 무선 음성,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데이터 부문이 서로의 방향으로 복잡하게 확장해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서비스도 유무선 통합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서비스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향후 변화될 서비스 중에서 가장 두드러질 것으로 보이는 VPN 서비스는 PSTN 기반의 지능망과 무선망이 연동해 확장된 유무선 통합 지능망에서 모바일 VPN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식으로 발전할 것이다. 또한 이동전화의 SMS 서비스를 확장한 개념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합 관리가 가능한 싱글메일박스(single mail box) 서비스도 향후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UMS 서비스는 통합 메시징 서비스에 유무선 통화기능과 개인정보관리 기능을 통합한 UC(unified communication)로 발전하고 더 나아가 UC에 개인화 된 뉴스, 정보, 오락, 신용/금융 거래 정보와 이에 음성/화상 회의 등의 고도 통신 기능을 부가한 PCP(Personal Communica tions Portal) 서비스로 통합될 것이다. 결국 통합 메시징은 음성 메시징, 전자 우편 메시징과 팩스 메시징을 통합, 단순화시켜 다양한 메시지들을 관리해주고 현재의 분리된 서비스들을 하나의 강력한 개인통신 도구로 진화할 것이다.
인포모바일이나 무선 PBX 등의 WOS(Wireless Office System)를 이용한 구내 유무선 통합서비스는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퍼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개념의 서비스로 PSTN 망과 블루투스, 그리고 이동전화망을 이용한 가정용 원폰(onephone) 서비스도 서비스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이와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 통합에 따른 우리 생활의 변화는 1980년대의 컴퓨팅 환경과 2000년대의 그것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듯이 상당히 큰 격차를 보일 것이다. 과거 막연히 이렇게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한 일들이 실 생활로 바꾸는데 유무선 통합은 밑거름으로 작용할 것이다.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 발전 방향 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