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기업들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초과 비용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원래 예정했던 프로젝트 완료날짜와 목표했던 성과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정된 기한과 예산 범위에서 목표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인 지식과 전문화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바로 프로젝트 관리다.
프로젝트 관리는 다양한 업계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IT 업계로 확산, 특히 SI 업체에서 프로젝트 관리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많은 조직의 엔지니어들이 어느날 갑자기 프로젝트 관리자로 임명되고, 그 임무를 수행한다. 이는 프로젝트 관리가 조직 내에서 일반적인 작업인 것처럼 인식되고, 새로 임명된 프로젝트 관리자들은 전문 지식과 훈련이 되지 않은 채, 성공적인 프로젝트 관리자가 되도록 강요받고 있다.
IT 업계 PM 주가 급상승
프로젝트 관리 기법은 지난 수십 년 간에 걸쳐 발전됐고, 현재의 프로젝트 관리는 전문적인 훈련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인증된 전문 직업으로 성장했다. 개인은 프로젝트 관리의 통해 전문적으로 기술 습득을 하고 조직은 프로젝트 관리자들의 역량 향상으로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프로젝트 관리 업무에 전문화가 강조되면서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교육과 자격증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그 중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는 미국의 사설단체인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가 1984년부터 시행해온 국제공인자격증으로, 캐나다 국방부, 시티뱅크, EDS, 제너럴모터스, AT&T 등 정부기관과 대기업에서 이의 취득을 적극 장려하면서 산업계에서 공신력을 널리 인정받게 됐다.
최근에는 프로젝트 관리자의 요건 중 하나로 PMP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기업과 기관이 늘고 있으며, 또 비용과 직결되는 프로젝트 기간 단축, 인적 물적 자원의 효율적 관리 체계 등이 필요한 기업 경영층의 요구와도 맞물리며 PMP의 중요도는 더욱 높아지는 추세다. 국내 역시 대규모 SI 업체에서는 PMP 자격을 취득한 사람만을 프로젝트에 투입하는 등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PMP는 프로젝트 관리의 전문성을 부여하고 프로젝트 관리 종사자들이 체계적 관리 기법을 갖춰 품질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에서는 95년부터 PMP 시험이 시행됐고, 지속적으로 그 자격증 소지자가 늘어나고 있다.
현재 한국프로젝트관리기술회에 등록된 PMP의 수는 1000여 명 이상이다. 그중 IT 업계 종사자는 20% 이상을 차지하면서 더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PMP 소지자가 늘어나는 이유는 90년 이후 IT 프로젝트가 급증하며 IT 업계에서도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자격증 응시율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SI 업계에서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프로젝트 프로세스 개선을 추진하는 것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읽어라'
PMP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사람들은 ▲프로젝트 경영을 적용하는 조직의 경영층 ▲프로젝트 관리자와 프로젝트 업무 종사자 ▲프로젝트 관리 체계 도입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팀원 ▲경영관리와 인력관리 업무 담당자 ▲조직 내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와 관리 시스템 도입 업무를 수행하는 팀원 등이다. 이들은 프로젝트 업무의 특성을 이해하고, 프로젝트 관리를 현업과 연관해 응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와 방법을 이해하고 간단한 프로젝트와 부속 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법을 숙지해야 한다.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체계를 익히기 위해 미국 PMI의 PMBOK 가이드 중심의 각 지식 분야를 중심으로 보다 전문적인 프로젝트 관리 체계를 스스로 학습하고 도입해야 한다. 또한 단순한 주입식 교육보다는 워크샵 형식을 포함하는 여러 교육을 통해 그룹 편성과 함께 서로의 프로젝트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기본적인 도구와 기법을 이용한 그룹별 실습으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룹별 활동은 개인별 역량보다는 팀의 역할이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해야 한다. 프로젝트 관리는 지식 분야별 접근보다는 프로젝트의 착수, 기획, 실행, 통제, 종료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프로세스의 확인이 더욱 중요하다.
PMP는 프로젝트 관리기법, 의사소통, 품질관리, 자원관리, 위험도관리, 재원관리 등 프로젝트 관리에 필요한 요소 기술을 확보하고, 각종 통신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대형 서버, 분산처리 솔루션, 데이터베이스관리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등을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IT 조직의 핵심적인 프로젝트 관리 컴포넌트
프로젝트 관리 교육 센터 확대
PMP 자격시험은 200개 문항의 객관식 문제로 구성된 CBT(Computer Based Test)로 이뤄지며, 절대평가로 137점 이상이면 모두 합격이다. 시험은 PMI에서 직접 운영하며, 국내에서는 한미교육단에서 운영하는 시험장에서 시험을 치를 수 있다.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은 학사학위 이상 최소 36개월 이상의 PM 실무경력을 갖춰야 한다. 여기서 실무 경력은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작업이 아닌 한시적으로 이뤄지는 프로젝트에 투입된 경험을 말한다.
PMP 교육은 한국프로젝트관리기술회, 한국정보산업연합회, PMsoft, PMWiz, PSI 컨설팅, 펜타클벤처아카데미, 벤처타이거 등에서 이뤄지고 있다. 주로 기업 방문 교육이 이뤄지며, 일정하게 개인 수강생 위주의 교육 역시 이뤄진다.
한국정보산업연합회의 IT 프로젝트 관리전문가 과정은 프로젝트 관리 특화과정으로 프로젝트 책임자, 팀원에게 프로젝트 관리의 전문성을 배양하고, 체계적인 프로젝트관리 기법을 숙지·활용할 수 있도록 핵심이론·워크샵·시뮬레이션·성공전략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론과 사례, 실습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사이버교육 전문업체 펜타클벤처아카데미는 삼성SDS와 함께 지난 3월부터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교육기업인 ESI 인터내셔널의 온라인 PM 전문가 과정을 국내에 개설하고 있다. 펜타클벤처아카데미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맺은 ESI 인터내셔널의 교육프로그램은 PMI 공인 교육프로그램으로 국제공인자격증 PMP 준비 과정과 조지워싱턴대학이 인정하는 마스터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다.

PMP 활동 보고 양식
PMP 재인증 절차, PDP
PDP(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는 PMP의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과 PMP의 자격 인증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이는 전문성 개발 활동을 위해 표준화되고 객관적인 체계를 제공한다. PMP들은 3년마다 최소 60 PDU(Professional Development Unit)를 획득해야 하며, PDP는 PMP 자격을 획득한 그 다음해 1월 1일에 시작한다. 또한 PMP들은 자격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PMP 윤리강령을 준수해야 한다.
PDU는 허가된 학습과 전문적인 서비스 활동을 측정하는 평가 단위이다. 이들 활동은 반드시 PMBOK과 PMP 전문가들에 의해 정의된 지식 영역, 프로세스와 충분히 일치하는 프로젝트 관리 주제와 연관돼야 한다. 일반적으로 계획되고 잘 짜여진 학습 경험 혹은 활동 한 시간마다 1 PDU를 획득할 수 있다. 모든 활동은 최소 한 시간이 돼야 인정받을 수 있으며, 한 시간을 초과하는 프로그램에서는 매 시간마다 10분의 휴식 시간이 허용된다.
PMP들은 자신들의 모든 활동을 보고해야 한다. 활동보고양식(Activities Reporting Form)에 필수 정보를 입력하고 완성된 양식을 PMI나 PDP 레코드 오피스로 팩스/전자우편을 이용해 보내야 한다. 활동 확인서는 매년 PMP들에게 발송된다.

또한 PMP들은 자신의 활동 증명서를 온라인에서 볼 수 있으며 조만간 PMI 웹사이트에서 활동 사항을 입력할 수도 있다. 모든 PMP들은 보고된 활동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를 모아 개인의 PDP 폴더를 관리해야 하고, 매년 감사를 위해 PMP 중 1%가 임의로 선별되므로 PDP 년도가 종료된 이후 적어도 12개월 동안은 증빙자료를 보관해야 한다. PDU를 획득하기 위한 모든 활동을 보고하기 위해서는 PMP 활동보고양식이 사용된다(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