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으로 TV 보는 시대 온다

일반입력 :2002/10/26 00:00

김용훈

올해 3월 초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3000만 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이 중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수는 2400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이 점차 고속화돼감에 따라 컨텐츠 또한 단순 텍스트, 이미지에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로 발전하고 있다. 올 한해에는 CDMA 2000-1x EV-DO 서비스 상용화, 컬러 단말기의 보급 확대 등으로 모바일 인터넷 시장은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현재는 VM(Virtual Machine) 기반의 서비스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모바일 네트워크에 음성, 데이터, 화상을 결합한 모바일 방송 서비스는 이동통신 선진국인 유럽뿐만 아니라,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업체인 NTT 도코모가 제공하는 i-모드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신개념의 서비스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사업화되고 있는 서비스다. 신개념의 모바일 방송 서비스 CBS(Cell Broadcasting Service)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해 이동통신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방송 서비스는 기존 공중파 방송국, 라디오 방송, 케이블 방송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개념의 방송매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고속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는 동영상 정보도 제공할 수 있어 M-커머스, M-광고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됐다. 1999년 7월 LG텔레콤에서 ‘이지채널’이라는 브랜드로 시작한 모바일 방송은 2002년 하반기내에는 국내 세 개 이동통신업체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으로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돼 가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컨텐츠 사업은 기술 방식에 따라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푸시(Push) 방식은 CBS 기반 서비스,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반 서비스가 있으며, 풀 앤 다운로드(Pull & Download) 방식은 WAP/ME 기반 서비스, VM 기반 서비스가 있다. 각 기반 기술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CBS는 한 기지국내의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시에 동일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서비스 기술로 모바일 방송 서비스의 기반 기술이고, SMS는 특정 가입자에게 개인별로 개인화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포인트 투 포인트 서비스 기술이다. WAP/ME(Wireless Aplication Protocol/ Mobile Explorer)는 휴대폰에 브라우저를 탑재해 무선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기술이며, VM은 휴대폰에 자바 또는 C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WAP/ME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반의 게임, 동영상 정보 또는 기타 부가 서비스를 다운로드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기술이다.(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현재 모바일 방송 서비스는 CBS를 기반으로 이뤄지고 있다.

모바일 방송의 기반 기술, CBS모바일 방송 서비스란 휴대폰에 특정 수신 ID를 입력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만든 이동통신기술의 응용 서비스를 말한다. CDMA 순방향 무선채널 중 페이징 채널을 이용해 메시지가 전송되고, 해당 기지국내의 모든 단말기가 이를 동시에 수신하는 방식이다. 이것이 CBS이며, 이것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가 모바일 방송 서비스다. 한번의 메시지 전송으로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일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측면에서 대량 방송형 메시지전송에 유리하다. CBS를 이용해 방송 가입자에게 요약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고 고객 중 추가정보를 원하는 고객은 단순히 통화 버튼만 누르면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방송 정보를 받아 볼 수 있다. 모바일 방송 서비스는 정보의 성격에 따라 채널을 구분해 실시간으로 뉴스, 증권정보, 날씨정보, 생활 지역정보, 각종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을 각 채널별로 제공한다. 지금까지 출시된 모바일 방송 지원 단말기는 방송 메시지를 30여개 저장할 수 있으며, 고객이 원하는 채널을 선택해 수신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돼 있다.
CBS, 네트워크, WAP/ME 등 연동 기술 필수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위해 크게 세 가지 부분의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 방송 관리 시스템은 방송에 관련된 모든 정보와 가입자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정보서버와 가입자 서버로 구성된다. 방송송출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될 채널 리스트를 관리한다. 실제 전송시 채널을 구분하고 전송할 지역을 정해 해당 기지국을 관리하는 MSC에 전송 요청을 하는 네트워크 요소로, CBC (Cell Broadcasting Center)로 구성된다. 방송정보시스템은 방송 가입자가 추가로 원하는 정보를 음성, 이미지,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ARS와 WAP/ME, 동영상 서버로 구성된다. 모바일 방송 시스템은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코어 네트워크와 밀접한 연동을 통해 작동한다.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CBS 구현 기술은 물론, 부가 서비스용 서버와 ARS, WEB/WAP 응용 시스템 구축 기술과 이동통신 네트워크와의 연동 기술이 필요하다.
셀 단위의 위치 기반 서비스 가능모바일 방송 서비스는 저렴한 네트워크 비용과 다수에게 동시 정보 송출이 용이해 데이터 서비스와 경쟁하기보다는 데이터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기본 플랫폼을 제공하는 위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 모바일 방송의 장점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방송 서비스는 특성상 기지국별로 지역 분할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방송은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매스 마케팅(Mass Mark eting)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기능의 이용 현황을 예로 들면, 삼성동 현대백화점에서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 스팟(Spot)성 할인 판매를 실시할 경우 모바일 방송을 통해 10시부터 11시까지 현대백화점에 도착할 수 있는 지역의 기지국을 선택해 할인 정보를 송출해 주면 단시간에 다수의 가입자에게 홍보할 수 있다. 모바일 방송 기술은 모바일 광고, M-커머스 등의 기반기술로도 활용될 수 있어 모바일 인터넷과 공생관계에 있다. 또한 정보량에서도 SMS 문자 메시지의 한계(100바이트 내외)를 극복한다.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ARS를 통한 음성정보(Call back number), WAP/ME를 통한 문자, 이미지 정보(Call back URL), MMS(VoD 서버)를 통한 멀티미디어 정보(VoD 보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한편 사용자가 휴대폰에서 증권정보 등을 보려면, WAP/ME와 같은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저에 들어가 인터넷에 접속하고, 몇 차례 메뉴선택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모바일 방송은 수신된 문자형태의 방송내용을 보고, 휴대폰상의 통화(send) 키를 누르기만 하면 자세한 내용을 다양한 형태로 들을 수 있다. 모바일 방송이 활성화되려면 이용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 모바일 인터넷(WAP/ME)의 경우 정보를 선택해 원하는 정보가 수신되기까지 요금이 부과되는 반면, 모바일 방송은 기다리는 과정없이 푸시형이기 때문에 대기하는데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들지 않는다.
CBS 규격 정의 완료모바일 방송의 기반 기술은 CBS다. CBS에 대한 정의는 GSM 규격에서 정의됐다. 1996년에 발표된 GSM 03.41(ETSI 300 537) 규격에서는 SMSCB(Short Message Service Cell Broadcasting) 구현 방법에 대해 정의했고, 1998년 GSM 03.41 v7.3.0과 2000년 ETSI TS 100 902 v7.3.0 규격에서 정식으로 CBS 기술 구현에 대한 규격이 정의됐다. 국내의 경우는 CDMA 기반에서 세계 최초로 1997년 국내 이동통신업체 공동으로 PCS 단말기업체 공동규격-SMS 기능 정의에서 CBS에 대해 정의했다. 이때 IS-637에 정의된 기본적인 SMS 서비스인 VMS, PMT, PPT 외에 한번의 절차에 한번 이상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대화형 SMS(Interactive SMS)와 모든 가입자 또는 다수의 가입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송형 SMS(CBS)도 정의했다. CBS는 기본적으로 SMS 기능에서 활용한 기술이지만 각각의 특징으로 인해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CBS를 SMS와 비교해 보자.SMS는 특정 단말기간 포인트 투 포인트 단문 데이터를 전달하는 서비스로, 전달 확인 기능이 있는 양방향 문자 페이징 서비스다. 현재는 음성메일/전자우편 착신, 은행/주식거래 내역 통지 서비스, 서비스 업체에 의한 정보 송출 서비스, 주식, 환율, 운세, 바이오 리듬 등의 주문형 문자정보 서비스 등이 있다. 종래의 휴대폰에 실시간 방송을 전송하는 SMS 전송 방법은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의한 포인트 투 포인트 개별송출 방식, 즉 폴링(Polling)에 의한 서비스 방법이 사용됐다. 이와 같은 방법은 100%에 가까운 정보 도달률과 일대일 마케팅에 있어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30만 명 이상의 다수 가입자에게 실시간 방송 정보를 동시 전송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개별 송출방식이므로 개인별 정보이용에 따른 원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인트 투 포인트 SMS는 SMS 메시지를 과다 사용할 때 교환기 부하를 증가시키고, 페이징 채널에 트래픽을 증가시킴으로 인해, 기본 서비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저렴한 비용, 일대 다수 대응 가능한 CBSCBS는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 성격으로 한 번의 메시지 전송으로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일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부하와 페이징 채널의 트래픽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어, 대량 가입자 수용에 유리하다. 또한 교환기, 제어국, 기지국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관리해 특정 지역 내에 있는 이동통신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지역 정보(Locati on Informatio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BS는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문자정보를 서비스하는 SMS 방식에 비해 사용자당 원가가 거의 ‘0’에 가까운 기술이다. 특정 단말기가 수신을 하는 것이 아닌 기지국내 모든 단말기가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대량전송에 따른 원가가 거의 없는 것이다. 하지만 단말기에서 별도의 수신 확인 신호(Ack)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 도달률이 90% 정도의 한계를 지니고 있는 점이 단점이다. 기본적으로 SMS 기술규격을 활용하기 때문에 단말기와 CBC(Cell Broadcasting Center) 시스템의 SMS 텔레서비스 계층에 CBS 컨트롤 계층 기능 추가함으로써 CBS에 대한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CBS 컨트롤 계층에서는 기본적으로 채널 분리, 방송 메시지 규격, 방송 이미지처리 방법, 콜백 방법(넘버, URL 등) 등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기본적인 단말기 UI(User Interface) 부분에서는 메시지 표현방법, 저장방법 등이 구현된다. 3G 모바일 방송 규격인 MBMS에 기대지금까지 모바일 방송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동영상의 경우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해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구동하는 구조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향후에는 공중파 방송국과 같이 스트리밍 방식을 통해 언제든지 단말기의 방송 수신모드를 선택하기만 하면 원하는 채널의 방송을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을 것이다. W-CDMA 규격은 CBS에 대한 3세대 통신규격 외에도 새로운 개념의 방송 서비스 개념인 MBMS(Multimedia Broadcasting and Multicasting Service)를 정의하고 있다. 3GPP TS 23.041 v4.1.0에서는 W-CDMA 통신 규격에 맞는 CBS 기술 구현에 대해 정의했으며, 3GPP TS 22.146 v5.1.0에서는 MBMS에 대한 서비스 기본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MBMS는 CBS와 달리 동영상 방송을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로 정의된다. 하지만 아직은 서비스 개념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현재 기술 구현 방식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MBMS에 대한 기술 구현이 이뤄지면 완벽한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모바일 방송은 완전한 방송매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는 차세대 방송 서비스 규격인 MBMS 표준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선행돼야 하며, 제반 기술로는 단말기의 메모리와 디스플레이 기술, 동영상 전송과 압축 처리 기술 등에 대한 개발도 지속적으로 수행돼야 한다. @진정한 멀티미디어 시대를 위해케이블 TV의 또 다른 미래「IP 기반 서비스」케이블TV의 디지털 전환, 순탄치 않은 항해 계속오픈케이블 표준 적용을 둘러싼 논쟁「아직도 계속」디지털 방송의 킬러 애플리케이션「T-커머스」 새로운 기회의 땅, 모바일 방송 서비스모바일 멀티미디어 솔루션「갈 길 멀다」 모바일 멀티미디어의 킬러 애플리케이션, MMS기지개 켜는 CDN 시장, 관건은 시장 확대 MPEG4·WMT·리얼원 시장 다툼「뜨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