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 기능이 뛰어난 IP 공유기「ZIO 인터빌더 INB-3040SR」

일반입력 :2002/10/01 00:00

문성욱

홈네트워크에서 하나의 인터넷 회선으로 여러 대의 PC를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하드웨어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기반 인터넷 공유 프로그램도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지만 여전히 하드웨어가 지원하는 범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ZIO 인터빌더 INB-3040SR은 거의 모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하드웨어 방식의 IP 공유기로 속도도 빠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췄다.

ZIO의 기존 모델은 속도도 느리고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도 부족했다. 하지만 최근 출시된 ZIO 인터빌더 INB-3040SR은 MSN을 비롯한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며 각종 기능 설정도 한글화된 웹 방식을 사용한다.

ZIO의 IP 공유기는 다른 네트워크장비와는 달리 눈에 띄는 독특한 보라색을 사용했다. 하지만 색상을 제외하면 다른 인터넷 공유기보다 오히려 평범하고 단순화된 구조로 이루어진 제품이다. 마치 5포트 허브를 보는 것 같은 작은 몸체는 기존 모델과는 달리 뒷면에 포트를 배열하고 앞면에는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LED만 배열한 것이 전부다.

기존 모델에서 지원했던 프린터 서버기능이나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전화접속 모뎀이나 ISDN TA를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은 제거돼 전형적인 IP 공유기의 형태를 띠고 있다. 몸체가 금속이어서 크기에 비해 조금 무겁기는 하지만 외부 충격이나 발열에 더욱 효과적이며 크기가 작기 때문에 좁은 장소에서도 설치하기 적당하다. 바닥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 패드가 있으며 홈이 있어 벽에도 설치할 수 있다.

벽에 걸 수 있도록 바닥에 홈이 있다.

내장된 4포트 허브는 스위칭 허브로 인터넷뿐만 아니라 내부 네트워크에서도 속도가 빠르다. 다만 UPLINK 기능을 위한 포트를 별도로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허브를 붙이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포트가 3개로 줄어든다.

다른 공유기와 마찬가지로 전원스위치는 없으며 초기화 홀만 있다. 앞면의 LED는 의외로 많은데 100/10Mbps의 동작속도를 별도로 표시해 알기 쉽고 연결 상태의 이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LED를 사용해 기계적인 이상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다만 모든 LED가 한 가지 색상만 사용해 단조로워 보인다. 전원은 별도의 어댑터로 공급되며 전선 길이가 충분해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다.

4포트 스위칭 허브를 내장하고 있다.

ZIO 인터빌더 INB-3040SR의 제품구성은 다른 인터넷 공유기와는 조금 다르다. 대개 한 개의 UTP 케이블을 기본 제공하지만 이 제품에는 포함돼 있지 않으며 독특하게도 CD가 함께 제공된다. 공유기의 특성상 드라이브나 소프트웨어가 전혀 필요 없지만 함께 제공되는 CD에는 매뉴얼과 공유기에 내장된 설정 기능과는 별개로 업그레이드·초기화 프로그램과 온라인 사용 설명서가 포함돼 있다. 아쉽게도 포함된 사용 설명서의 내용은 아주 기본적인 내용만 담고 있으며 PDF 형태의 설명서를 읽어야 공유기의 모든 설정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온라인 사용 설명서의 내용은 메뉴별 설명에 중점을 두고 있어 네트워크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이해하기 어렵다.

하지만 웹 기반의 설정기능은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글지원과 설정 마법사를 통한 설정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기본 설정 이외에 정밀한 설정 기능은 별도의 메뉴로 구성해 알아보기 쉬우며 어려운 용어를 위한 온라인 도움말이 내장돼 있다. 또한 일부 ISP업체의 MAC체크를 대비한 MAC 어드레스 강제 할당 기능도 지원한다.

온라인 매뉴얼과 유틸리티가 담긴 CD가 제공된다.

뛰어난 설정 기능과 저렴한 가격

기존 버전보다 업그레이드된 CPU와 개선된 펌웨어는 비교적 최신의 다른 IP 공유기와 비교해도 만족스러운 속도를 보인다. 서비스 역시 기존 모델의 단점을 해결해 대다수 인터넷 서비스를 별도 설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게임이나 일부 인터넷 서비스는 별도로 설정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 방화벽으로부터 자유로운 DMZ 기능이나 가상 웹서버 구축도 가능하며 URL 필터를 통한 특정 사이트의 접속 차단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돋보이는 점은 별도의 설정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의 설정 값이 미리 갖춰져 있어 원하는 PC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야후메신저나 인터넷 폰, 넷미팅과 같은 IP 공유에 따라 지원되지 않는 서비스조차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도 유동 DNS를 통해 연결된 PC에 도메인을 부여해 서버로 운영할 수 있는 메뉴도 있다.

다만 설정 기능의 일부는 별도의 창을 띄우게 만들어져 전체적인 인터페이스의 통일성이 없어 정리되지 않은 느낌을 준다. 또한 네트워크 설정이 적용될 때 일시적으로 가끔씩 네트워크가 단절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는 현상이 보이거나 설정값이 바로 적용되지 않는 등 자잘한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이같은 문제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로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른 공유기보다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ZIO 인터빌더 INB-3040SR은 정밀한 설정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설정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내부 네트워크의 설정도 DHCP로부터 자동으로 활당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정 PC의 IP를 고정하거나 DHCP서버에서 예약할 수 있도록 개별 PC마다 설정이 기능하다. 또한 백업 DNS를 설정하거나 방화벽의 한계 값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IP 공유기에서는 보기 어려운 로그기능도 뛰어나 접속한 사이트나 방화벽에 공격당한 내용 등을 조회해 볼 수 있다. 외부로부터의 침입이 있을 때 설정한 메일계정으로 자동으로 메일을 발송할 수 있게 해 서버로 사용 시에도 외부에서도 쉽게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로그기능으로 접속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안정성은 문제삼을 만한 부분 없을 정도로 양호하다. 발열이 조금 있기는 하지만 다운이나 이상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제품 측면의 냉각 홀이 생각보다 크기 때문에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들어가기 쉽다. 펌웨어 설정 기능은 파일을 통한 업그레이드 방법으로 테스트로 제공받은 제품이 출시 된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에서 벌써 수정된 펌웨어가 있을 정도로 비교적 제조사의 대응이 빠르다.

하지만 이러한 온라인 대응에 있어 게시판을 통한 사용자 지원은 질문에 대한 응답률이 아직까지는 원활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1년간 수리를 통한 A/S를 지원하는 ZIO 인터빌더 INB-3040SR은 10만원 이내로 매우 저렴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