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IBM과 다쏘시스템 한국지사는 13일, 제13회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솔루션 사용자 모임을 갖고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PLM의 비전과 제품의 전략을 소개하는 기조연설을 필두로 다양한 국내외 PLM 적용, 성공 사례를 발표했다.국내 사례의 경우 자동차, 항공, 기계제조, 전기/전자 등 전 산업 분야에 걸쳐 현대자동차, 쌍용자동차, 한국항공, 대성전기, 소니코리아, 웅진코웨이 등 다수의 제조 및 엔지니어링 업체에 대한 국내 PLM 솔루션의 성공 사례를 소개했다.또한 이번 사용자 모임을 위해 일본의 지게차 제조사인 도요타 산업과 전기/전자 메이커인 파이오니어사에서 내한, PLM의 적용 및 구현 사례를 소개했다. 이 외에도 볼보, 도요타자동차, 록히드마틴, 소니 등 해외 유수 기업의 구축 사례를 통해 최근 제조업계의 흐름과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했다.이번 행사에서는 특히 기계제조와 전기전자 업계의 PLM 성공 사례를 강조하였으며, IBM과 다쏘시스템의 PLM 솔루션이 비단 자동차, 항공 업계 뿐 아니라 기계제조와 전기전자 업계에서도 널리 적용되고 있음을 강조했다.최근 제조업계는 협력업체의 글로벌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제품 생산의 전 단계에 걸친 협업의 필요성이 가중되고 있으며, PLM 솔루션은 시장 및 공급자와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시장의 요구와 정보를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는 고품질의 제품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툴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IBM 아/태지역 PLM 솔루션 사장인 라울 반 엥겔쇼븐은 이날 행사에서 PLM은 제조업체의 내부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수익 증대에 기여하여 기업의 가치를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필수적인 솔루션임을 역설했다.다쏘시스템의 경영이사회 고문인 프란시스 버나드도 PLM 솔루션이 기업의 지적 자산의 관리와 활용을 촉진해 보다 혁신적인 제품 개발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기업은 제품 개발 속도를 가속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