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은 DSL 모뎀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모아 백본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DSL 접속을 위한 다중화 장비다. DSL 가입자와 서비스 제공업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해, 가입자에게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의 전화 서비스는 물론이고 고속 인터넷 접속, 원격 LAN 연결, VOD 접속, 화상전화 회의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도 가능해진다. 단일 플랫폼에서 ADSL, VDSL, HDLS2, SHDSL을 처리할 수 있고, 기존 전화네트워크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새로운 서비스와 이익 창출을 가능케 해주는 제품으로, 통신업체나 서비스 사업자가 DSL 기술을 이용한 고품질의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MTU(Multi-Tenant Units), MDU(Multi-Dwelling Units), MHU(Multi-Hospitality Units) 등에 제공할 수 있다.DSLAM은 대개 전화국에 설치되며, 가입자 댁내에 설치되는 가입자 모뎀과 연결된다. DSLAM의 포트 수에 따라 수용 가입자 수가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일정 시간에 동시 접속이 많은 만큼 이를 고려해 여유 포트를 두는 것이 좋다. 백본으로의 연결을 위한 기가비트 또는 고속 이더넷을 장착할 수 있는 확장 슬롯이 제공되고, 인터페이스 모듈도 서비스 제공업체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DSLAM과 가입자 모뎀 간의 연결은 기존 일반전화 회선을 사용하므로 넓은 지역에 걸친 서비스가 가능할 뿐 아니라 비용도 저렴하며, ATM 구조를 가지므로 향후 ATM 서비스까지 수용할 수 있다. 제품에 따라서는 DSL 회선을 ATM이나 프레임 릴레이 또는 IP 네트워크의 조합과 접속하기도 한다. DSLAM은 ATU-R의 접속신호를 받아들이는 ATU-C 집합형 모뎀과 상위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업링크 부분 그리고 전화선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ATU-R은 ATU-C의 모뎀과 연결하기 위한 ADSL 모뎀을 내장한 가입자 장치다. 보통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로 불리며, 모뎀 기능 뿐 아니라 라우터, 브리지 등의 기능을 지원해 원격지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