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철이면 바다나 강으로 카메라를 들고 가기 마련. 디지털이건 필름이건 카메라를 물에 빠뜨린다는 것은 상당히 심각한 사태가 아닐 수 없다. 절대 카메라를 물에 빠뜨리는 불상사가 있어서는 안되겠지만, 디지털 카메라를 물에 빠뜨렸을 때 잘만하면 적은 수리비로 고칠 수 있다.디지털 카메라가 물에 빠졌다디지털 카메라가 물에 빠졌다면 카메라로서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은 것과 다름없다. 대부분의 전자제품의 경우 기판에 물이 들어갔다 해도 잘 말리고 점검만 받으면 아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카메라는 다른 전자제품과는 달리 물에 빠지면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물론 바닷물이냐 강물이냐에 따라 조금 달라지지만 디지털 카메라에서 물에 가장 약한 부분은 전자회로보다는 CCD와 렌즈이다. CCD는 디지털 카메라의 화질을 좌우하는 부분으로 절대 손으로 만지거나 이물질이 묻어서는 안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 물이 들어가면 디지털 카메라의 화질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렌즈는 유리이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안될 것 같지만,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줌 렌즈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장의 렌즈가 내부에 포함돼 있다. 이들 렌즈 속에 물이 들어가면 수분을 완전히 제거해도 서리가 끼거나 수분으로 인한 곰팡이가 발생하게 된다. 카메라의 렌즈 표면은 일반적인 유리와는 달리 외부 자극에 대비하거나 렌즈에 특별한 특성을 주기 위해 대부분 특수 코팅이 돼 있다. 여기에 물이 닿게 되면 코팅 부분에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기도 하고, 또 물기를 닦아내기 위해 손을 댈 경우 오히려 코팅이 벗겨져 카메라의 화질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물에 빠졌을 때의 응급처치물에 빠진 디지털 카메라는 먼저 빨리 건져 낸 다음 전원을 켜지 말고 카메라를 흔드는 등의 방법으로 최대한 물기를 빼내도록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렌즈 속의 물기를 빼내기 위해 분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또한 전지와 메모리를 빼내서 카메라와 함께 말린다. 절대 태양광 아래에서 말려서는 안되며, 그늘지고 바람이 잘 부는 공간에서 말린다. 메모리와 배터리는 이러한 수분만 제거하는 과정만 거치면 사용에 전혀 지장이 없다. 다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카메라를 그나마 정상적으로 살려낼 수 있을 때는 바닷물이 아닌 소금기 없는 물에 빠졌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하지만 어떠한 물에 빠지건 카메라는 한 번 물에 빠지면 치명적인 문제가 생기게 된다. 어느 정도 말린 카메라는 최대한 빨리 A/S센터로 보내서 수리를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A/S 비용이 카메라 한대 값만큼 나올 때도 있으니 그 점을 감안해서 A/S를 받아야 한다.여름철의 좀더 안전한 대비책물에 빠뜨린 카메라는 수리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물가에서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가장 완벽한 방법은 수중 촬영이 가능한 방수 하우징을 구입하는 것이다. 모든 디지털 카메라에 이러한 액세서리가 제공되지는 않지만 상당수 카메라는 물속에서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는 케이스를 판매한다. 이럴 때는 잠수를 통해 수심 몇 미터 정도까지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물 밖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수 팩을 구입하는 방법도 있다. 카메라를 특별히 제조된 투명하고 밀폐된 케이스에 넣어 사용하는 방수 팩은 완전 방수는 안되지만 물에 빠뜨렸을 때 최소한 카메라 속에 물이 들어가는 것은 막아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