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텅구리 5.1채널 스피커를 이용하라입체음향의 구현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술은 돌비 디지털과 DTS이다. 파워 DVD와 같은 일부 특별한 DVD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DTS 방식을 이러한 방법으로 듣는 것은 불가능하다. 두가지 방식 모두 하드웨어 디코더가 필요하며 디코더는 대부분 스피커 시스템과 일체돼 있거나 별도로 판매되는 제품은 제법 비싼 편이다. DVD를 감상하는 경우라면 사블 라이브와 파워 DVD를 이용한 입체음향 구현법은 돌비 디지털 방식에 한해 완벽하진 않지만 이에 준하는 사운드를 제공한다. 또한 라이브 사운드 카드의 기능을 이용하여 돌비 서라운드를 즐길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스피커 시스템이 어떠한 방법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시중에 판매되는 5.1채널 스피커 중에는 20만원 이내의 제품도 있다. 이러한 스피커는 디코더가 내장돼 있지는 않지만 앰프와 6개의 스피커로 이루어졌다. 디코더는 없지만 사블 라이브 사운드 카드는 디코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그리고 제대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5.1채널 스피커가 없다면 별도 구매가 필요하다.
남는 2.1채널 스피커를 이용하자멍텅구리 5.1채널 스피커가 없다면 좀더 경제적인 방법을 생각해 보자. 집에서 사용하는 두개의 스피커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다. 두개의 스피커 시스템 중 하나는 전면에 또 하나는 후방에 설치한다.물론 우퍼가 있다면 정확히 4.1채널이 구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여러 개의 스피커가 동원되는 상황에서는 오디오와 PC 스피커가 혼용될 때가 많다. 오디오용 스피커의 대부분은 PC를 기반으로 한 50만원 이하의 스피커 보다 음질이 좋을 때가 많다. 그렇기에 오디오용 스피커는 전면에 설치하고 후방에는 PC스피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하지만 이렇게 설치한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음의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다. 전후방의 스피커의 앰프가 다르기 때문에 앞이나 뒤쪽의 소리의 크기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 자신의 귀에 의지해 음악이나 DVD를 재생시킨 다음 전후방의 소리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다만 앰프의 볼륨을 너무 키우는 것은 좋지 않다. 이는 화이트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서라운드 믹서로 마무리하드웨어적인 세팅이 끝나면 소프트웨어적인 조작이 필요하다. 소프트웨어는 윈도우 XP를 비롯해 모든 라이브 사운드 카드에 포함된 서라운드 믹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서라운드 믹서에는 스피커의 개수를 선택하는 메뉴가 있다. 이 부분을 자신의 스피커 구성에 맞춰 선택한다. 그리고 테스트 버튼을 눌러 모든 채널에 이상 없이 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한다. 이런 상태에서 소리를 재생할 때에는 게임을 제외하고는 입체적으로 분리된 소리를 들을 수 없다. 서라운드 믹서의 윗부분을 보면 테스크와 프리셋 이란 항목이 있다. 이 중 테스크의 목록 중 MOVIE라는 항목을 선택해야지만 돌비디지털의 가상 디코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은 후방 스피커의 소리가 조금 작아지기에 적당한 크기로 볼륨의 조절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