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트가 사이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에 대해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다. 만약 어떤 사이트가 컨텐트를 꾸준하게 관리하지 않고 방치해 두거나, 원활한 업그레이드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고객은 그 기업에 대해 신뢰감을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이때, 매일 만들어지고 복사되며 곳곳으로 분배되는 컨텐트량은 그야말로 엄청나다. 그러나 제대로 관리되지 못해 빛도 보지 못하고 곧 사장되고 만다. 최근 '컨텐트는 돈', '컨텐트의 유료화', '컨텐트의 다중채널 서비스'를 기치로 가공과 관리를 원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솔루션이 있다. 바로 컨텐트 관리 시스템(Content Management System)으로 불리는 CMS이다.
이미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업체들이 자사 사이트를 CMS 기반으로 전환하고 있다. 컨텐트와 그의 프리젠테이션 양식(디자인)을 분리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관리를 통해 상당한 비용 절감효과를 맛보고 있으며, 급변하는 시장변화에 빠르고 적절히 응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새로운 수익창출의 활로를 제시하는 등 여러 장점을 제공하는 CMS는 날로 치열해지는 e-business 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전략 솔루션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2004년 경에는 100억 달러가 넘는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국내시장의 경우, 북미지역에 비해 시장발전 추세가 1~2년 정도의 격차를 보이며 2000년 경 부터 CMS 수요가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또한 CMS에 대한 개념정립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도입을 검토하는 업체측이나 개발하는 업체측에서 CMS를 통해 무엇을 커버해야 하는지에 대한 혼돈이 야기되고 있다. 이는 CMS는 하나의 단순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컨텐트 생명주기에 따른 관리를 포괄하는 여러가지 애플리케이션들이 결합, 통합솔루션으로 나아감에 따라 개념 자체가 진화되어 왔기 때문이다. 또한 각각의 솔루션이 모두 다 같은 기능 영역을 제공하지 않고 다른 특화된 장점을 갖고 있는데, 이는 각각 솔루션 태생별로 발전해 온 경로가 틀리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본 리포트는 CMS를 도입하려는 국내기업들에게 다음과 같은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 우선 CMS 솔루션을 태생별로 그룹화하고 더불어,
- 컨텐트 생명주기에 따른 CMS 모델을 정의해, 각 단계별로 갖추어야 할 핵심기술 및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CMS가 가져야 하는 필수 요소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또한 이에 기반해 주요 CMS 솔루션을 비교 평가했다. 우선 시장에 출시돼있는 외산 솔루션 중 그룹별로 2개씩 총 6개의 솔루션을 분석했으며, 각 세부 항목에 대해 비교 평가했다.
본 보고서는 CMS의 도입을 검토하는 업체들에게 자사에 필요한 사항이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고 적절한 솔루션을 선택하는 평가 툴로써, 국내 개발 업체들이 추후 개발전략을 다시 한번 점검할 수 있는 지침서로 그 활용가치가 높다하겠다. 특히 현재 국내 개발업체의 상당수가 범용적인 컨텐트 관리의 CMS가 아닌 카탈로그 관리의 CMS를 출시한 상황에서 앞으로의 확장 전략 수립에 있어 좋은 참조자료가 될 것이다.
소프트뱅크리서치는 2001년을 국내기업의 CMS 도입기로 규정하고, 2001년에 약 700억 원 규모의 국내 시장수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국내 CMS 시장 증가추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CMS 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2004년에 이르러 약 2,700억 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여러 정부지원정책 및 신디케이션 시장의 활성 등 CMS 수요를 촉진하는 요소로 인하여 국내외 솔루션의 열띤 각축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
1. CMS란 무엇인가?
2. 왜 CMS가 필요한가 : CMS의 도입효과
3. CMS 시장현황과 세부그룹별 분석
3.1 CMS 시장현황과 전망
3.2 CMS 시장의 세부그룹
1)웹 컨텐트 관리(Web Contents Management)
2)문서 관리(Document Management)
3)e-commerce 관리
4)변경/코드 관리(Software Change/ Source Code Management: SCM)
5)디지털 자산 관리 (Digital Assets Management: DAM)
4. CMS 모델정의와 핵심기능 분석
4.1 Content Creation & Collection
4.2 Content Repositing & Managing
4.3 Content Publishing & Delivery
4.4 Content Analysis
4.5 Workflow Management
5. 주요 CMS 솔루션 비교분석
6. 국내 CMS 솔루션 시장 현황 및 전망
6.1 국내 업체동향
6.2 외산 업체동향
Appendix 1. 외국 CMS 업체현황 및 제품분석
-비넷(Vignette)
-인터우번(Interwoven)
-오픈마켓(Open Market)
-다큐멘텀(Documentum)
-인트라넷솔루션(Intranet Solutions)
-브로드비젼(Broadvision)
-미디어서피스(Media Surface)
-엔캠패스(Ncompass)
-디마인드(Dmind)
Appendix2. 국내 CMS 업체 현황 및 제품 분석
-아이포스시스템즈
-투나인정보기술
Apeendix3. 국내 Catalog Management System 업체 현황 및 제품 분석
-e-net
-하늘정보
-DIGIweb
-K4M
-NextTech
[표]
CMS 기반 솔루션 운영의 효과
CMS 시장규모와 전망
솔루션 벤더별 업체인수 및 현재 제휴 관계 현황
CMS 제품 기능별 비교분석 체크리스트
CMS 도입의 기본 가격 내역
[그림]
CMS 솔루션의 장점
CMS 솔루션 세부 그룹별 분류
컨텐트 생명주기에 따른 CMS 모델 정리
웹솔루션 프레임워크
[차트]
국내 CMS 시장 증가 추이
CMS 도입으로 인한 컨텐트 관리 비용의 감소
글로벌 2000대 기업의 CMS 도입추세
국내 CMS 시장 증가 추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