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XP, 모바일·원격 지원 「백미」

일반입력 :2001/10/17 00:00

eWEEK 10월 5일자

안정되면서 확장 가능한 NT 코드를 기반으로 개발된 윈도우 XP는 윈도우 9x를 대체하기에 충분한 호환성과 사용 편이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10월 25일 정식 출시될 마이크로소프트의 최신 윈도우 클라이언트인 윈도우 XP는 현재 RTM 버전이 발표된 상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최종 코드 테스트에서 eWEEK 랩은 윈도우 XP 프로페셔널 에디션의 성능과 다양한 기능에 놀랐으며 하드웨어 지원도 윈도우 2000 수준이면 충분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XP는 윈도우 2000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 2000 데스크톱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경우 원격 지원이나 원격 데스크톱과 같은 XP만의 특화된 기능을 원하지 않는다면 무리하게 업그레이드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윈도우 9x 기반의 데스크톱을 이용하고 있다면 윈도우 XP 업그레이드는 고려할만한 가치가 있다. XP는 윈도우 2000의 안정성과 관리 기능의 이점을 그대로 지원하면서 윈도우 2000의 한계점이었던 호환성 문제를 크게 개선했다. 윈도우 XP 프로페셔널 에디션의 가격은 일반 버전의 경우 299달러이고 업그레이드 버전은 199달러다. 윈도우 98/ME/NT4.0/2000 등이 탑재된 시스템은 XP로 직접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모바일 기능 지원 ‘괄목’윈도우 XP는 노트북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리어타입(ClearType) 텍스트 표시 기능을 지원한다는 것이 눈에 띈다. 클리어타입은 LCD 모니터에서 텍스트의 해상도를 3배까지 개선해 가독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 윈도우 XP는 802.11b를 통해 기업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바일 사용자들을 위해 까다로운 무선 NIC 설정 과정을 크게 간소화 시켰다.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접속하는 시간이 1분으로 단축됐고 XP가 다양한 무선LAN 카드를 직접 지원함으로써 무선 LAN 카드에 포함된 드라이버나 유틸리티 소프트웨어가 필요 없게 됐다. 이번 테스트에서 XP는 2000보다 부팅 시간이 짧아졌다. 윈도우 2000에 비해 대기 모드나 수면 모드에서 작업 가능 모드로 돌아오는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됐다. 그러나 웨이크업 시간은 두 운영체제 사이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컴퓨터의 배터리 수명 성능도 큰 차이가 없었다. 700MHz 펜티엄 III 노트북 두 대에서 지프데이비스 미디어의 윈스톤 2001 배터리마크 벤치마크 테스트를 사용해 배터리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두 운영체제의 성능 차이는 불과 1분 정도라는 것을 확인했다. 윈도우 터미널 서비스 기술을 활용해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두 가지 새로운 기능은 매우 인상적이다. 원격 지원 유틸리티를 사용하면 전자우편이나 윈도우 메신저 등을 통해 다른 XP 사용자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해당 사용자는 원격 시스템을 제어해 필요한 사항을 변경하고 지원할 수 있다. 이는 멀리 떨어진 사용자들을 지원하는 업무를 맡고 있는 IT 관리자들에게 매우 유용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원격 데스크톱 기능은 원격 사용자들이 다른 XP 시스템이나 윈도우 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통해 XP 데스크톱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 두 기능은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이 기능의 사용 대상을 설정할 때 주의해야 한다.윈도우 2000 운용 하드웨어면 충분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XP를 설계하면서 시스템 리스토어(System Re-store)와 같은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고 디스크 액세스 최적화 등 속도 개선 기능을 통해 윈도우 2000의 성능을 개선하려 했다. eWEEK 랩은 윈도우 98 SE(Second Edition), 윈도우 2000 서비스팩 2, 윈도우 XP 등을 256MB의 RAM이 장착된 450MHz 펜티엄II 시스템에서 테스트했다. 지프데이비스 미디어의 비즈니스와 컨텐츠 크리에이션 윈스톤 벤치마크를 사용한 결과 XP와 2000이 윈도우 98의 성능을 앞서지만 다른 운영체제와는 비슷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XP 사용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에게서 하드웨어 업그레이드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사 결과 윈도우 2000을 운영하는데 문제 없는 수준인 400MHz 펜티엄II 프로세서와 128MB의 RAM이면 윈도우 XP를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었다.

친숙하고 화려한 루나 인터페이스윈도우 XP에는 애플리케이션 호환 기능이 포함돼 있어 사용자들은 윈도우 95, 윈도우 98, NT 4.0이나 2000용으로 제작된 애플리케이션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드라이버나 디스크 분할 유틸리티,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 같은 로우레벨 운영체제 컴포넌트는 새로운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있어야만 윈도우 XP에서 사용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에 앞서 주요 애플리케이션과 XP의 호환성을 미리 점검할 필요가 있다. 윈도우 XP의 새로운 인터페이스인 루나(Luna)의 디자인에서는 운영체제의 구성 요소를 재디자인한 제어판과 작업 표시줄과 같은 직관적인 그룹에 구성해 단순함을 강조하고 있다. 윈도우 XP의 새로운 시작 메뉴는 윈도우 2000보다 2배 정도 커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추적해 보여주기 때문에 실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윈도우 XP에는 로컬 파이어월이 포함돼 있다. 기업 파이어월을 대신할 정도는 아니지만 관리자는 다양한 형태로 수신되는 인터넷 트래픽을 차단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파이어월 기본 탑재이같은 추가 보안 기능은 사무실의 네트워크와 기타 다양한 형태의 보안이 보장되지 않는 공공 네트워크를 자주 사용하는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큰 의미를 갖게 한다.윈도우 ME에서 처음 선보였던 시스템 복구 기능은 윈도우 XP를 지원하는 기업 헬프데스크의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보인다. 시스템 복구에서는 사용자나 헬프데스크 담당 직원이 유해한 애플리케이션 설치나 다른 이상한 징후 등을 파악해 시스템을 작업 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윈도우 2000에서와 마찬가지로 윈도우 XP는 승인받지 않은 드라이버를 설치할 경우 위험을 경고하고, 관리자는 승인받지 못한 드라이버의 설치를 거부할 수 있다. 윈도우 XP는 윈도우 2000에서 지원했던 단계별 컴포넌트 공유와 파일 보호 기능을 구축해 애플리케이션간에 일어나는 파일 충돌, 즉 ‘DLL 상태’를 최소화할 수 있다.정품 인증 새롭게 적용윈도우 XP 정품 패키지에는 불법복제 소프트웨어 처리 기능인 WPA(Win-dows Product Activation)가 포함돼 있다. 대량 라이선스된 XP에는 WPA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기업 IT 부서에서 운영하는 시스템만 WPA를 지원하면 된다. 설치 과정에서 WPA는 XP가 설치된 시스템 컴포넌트의 ID 데이터와 함께 XP 제품 ID에서 고유의 문자열을 생성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이 문자열을 마이크로소프트로 전달하고 30일 이내에 XP를 실행해야 한다. 사용자는 XP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ID를 받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신의 시스템에서 6가지 이상의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경우 XP는 이 시스템을 다른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다시 30일 이내에 재등록하도록 요구한다. WPA에서는 개인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데스크톱과 마이크로소프트간의 정보 교환에도 관여하지 않는다. XP 시스템에서 가동 불능 상태를 요구한 경우를 제외하면 WPA로 인해 XP 시스템이 중지되는 경우는 없지만 IT 관리자들은 XP를 설치한 후 WPA의 운영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