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컴소프트웨어 ASCMS

일반입력 :2001/04/17 00:00

김영미 기자

지금까지 기업내의 서버 관리는 외산 제품 일색이었다. 이들 제품의 대부분은 고가의 엔터프라이즈급으로 도입에 따른 비용 부담이 커 많은 업체들이 이용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IT 인프라의 급속한 확산, 고기능화 등으로 IT 인프라의 관리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비용 부담을 크게 줄여 주면서도 외산 솔루션 못지 않은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이 ASCMS다.

웹 기반의 모니터링, 장애 관리 기능 제공

ASCMS의 가장 큰 특징은 관리하는 서버의 정보, 상태를 웹을 통해 모니터링 해줄 뿐만 아니라 서버 장애 발생시 웹을 통해 조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SMS 솔루션들이 인트라넷 환경에 의해서만 서버 관리를 수행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ASCMS가 제공하는 웹 기반의 관리 기능은 서버 위치에 관계없이 인터넷이 접속되는 곳이면 어디서든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이 관리하는 서버의 상태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버 장애에 대해서도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기능을 통해 고객은 서버를 IDC(Inter net Data Center)에 설치해놓고 서버 관리 전담 요원을 배치하거나 혹은 장애 발생시 조치를 취하기 위해 IDC까지 가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신이 있는 곳에서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CTI 기술에 의한 서버 장애 관리 기능

ASCMS는 웹 기반의 서버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CTI(Computer Telephoney Inte gration) 기술에 의한 서버 관리 기능도 제공한다. ASCMS가 제공하는 CTI 기능에 의한 서버 관리 기능은 크게 장애 통보 기능과 장애 처리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장애 통보 기능은 서버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기준으로 서버에 장애가 예상되거나 장애가 발생했을때 그 내용을 유무선 전화를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이다.

특히 ASCMS는 TTS 리더 기술을 채택해 장애 발생시 생성된 텍스트 파일을 그대로 읽어주기 때문에 어떤 장애 상황에 대한 통보도 들을 수 있다.

ASCMS는 장애 상황에 대해 통보뿐만 아니라, 유무선 전화에 의한 장애 처리 기능도 제공한다.

즉 ASCMS는 유무선 전화를 통해 시스템 종료, 리부팅, 백업, 네트워크 관리, 모니터링 및 사용자 설정 수행 기능을 통해 서버 관리자가 이동중에도 자신의 서버를 관리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을 통해 서버 관리자는 유무선 전화를 통해 받은 장애 상황에 대해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웹 또는 유무선 전화에 의한 서버 관리 이외에도 ASCMS는 다른 SMS 솔루션과 같이 인트라넷 환경의 관리자용 툴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관리자에게 서버의 모니터링부터 장애 처리, 제반 분석 작업까지 실시간으로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모든 툴을 종합적으로 제공해준다.

이처럼 ASCMS는 고객에게 웹, 유무선 전화, 관리자용 툴 등의 다양한 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서버 관리자가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서버를 관리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서버 관리업무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ASCMS는 단순히 서버에 대한 모니터링, 장애 관리 등 서버에 대한 직접적인 관리를 지원할 뿐 아니라 서버 관련 정보에 대한 통계 자료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그에 대한 리포트를 제공한다.

다양한 통계 리포트로 의사 결정 지원

서버 장애 내용, 메모리, 하드웨어, SWAP, CPU, 프로세스 등 시스템 자원과 관련된 통계자료에 대한 기간별(분, 시간, 일, 주, 월) 서버별 분석 리포트가 그래프, 도표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런 자료는 관리자가 자신이 관리하는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과 그에 대한 대책 수립을 합리적인 데이터에 근거해 진행할 수 있게 해준다.

SWAP 디바이스의 총 크기와 사용중인 크기를 기록, 관리한다. 사용량의 통계 분석을 통해 SWAP 디바이스의 사용 효율을 진단함으로써 SWAP 공간의 확보 요구 시기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메모리 증설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좋은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SWAP 사용으로 인해 지연되는 프로세싱 타임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실행중인 프로세스명과 프로세스 ID, 사용자 ID, CPU 점유율, 총 메모리크기, 사용된 메모리,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CPU 사용 시간 등을 기록, 관리함으로써 프로세스 데몬별로 자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분산 시스템 도입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 자료로 제공하게 되며, 소프트웨어 테스트시 시스템 과부하를 판독하기에도 좋은 자료로 활용된다. 이처럼 ASCMS는 서버에 대한 모니터링, 장애통보, 장애처리, 통계자료 분석에 의한 리포트 등 서버 관리와 관련한 종합적인 기능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한 제품이다.

ASCMS는 서버 관리 시스템을 설치해 주는 솔루션 형태뿐만 아니라 MSP(Management Service Provider) 형태로도 제공됨으로써 고객의 솔루션 구입에 대한 부담을 대폭 줄여줄 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