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14일 지금까지 각 부서별로 개별적으로 기획하고 추진돼온 각종 정보화사업을 장기 계획 하에서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4월까지 해양수산 종합 정보화전략계획(ISP)을 마련하고 5월부터 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해양수산 정보화 10개년 계획에는 ▲부처 및 산하기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축에서 업무지원시스템, 그룹웨어 등 정보화 기반 마련 ▲지식자원 디지털화·해양안전관리·항만건설CALS·해운항만관리·해양종합관리·수산종합관리·어업자원관리 등 해양수산 정보화 ▲사이버 해양교육 활성화 ▲지식경영시스템 도입 등이 모두 포함된다. 해수부는 향후 이들 정보화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기획·수행·지원 등을 전담할 정보지원센터 설립도 추진할 방침이다. 해양수산 정보화 계획은 현재 해수부 산하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서 수립 중이며 LG―EDS시스템이 용역을 맡아 진행하고 있다.◈2004년까지 지식경영시스템 도입=해양수산 정보화 장기계획 가운데 핵심사업으로 추진되는 것이 해양수산지식정보시스템 구축이다. 해수부는 지식정보시스템 구축과 관련 응용시스템 구축에 올해부터 2004년말까지 4년간 1000억원 이상을 투입할 방침이다.해수부는 지식경영 마스터플랜 수립작업을 다음달까지 완료하고 5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지식경영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이어 지식포털을 구현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지식경영시스템 도입을 위해 정보화뿐만 아니라 조직·업무프로세스·문화 등 종합적인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며 도입기·확산기·성숙기로 분류해 단계별로 진행하기로 했다.오는 5월부터 올해 12월까지 도입기에는 통합검색기능을 갖추고 그룹웨어 기능이 통합된 해양수산지식정보시스템이 본부에 구축되고 홈페이지 기능 통합이 완료된다. 또 지식정보화를 위한 부문별 응용시스템 구축이 추진된다.이어 내년 1년간의 확산기에는 통합검색 기능이 보강된 지식정보시스템이 지방청으로 확대되고 홈페이지의 기능이 포털화된다. 동시에 부문별 데이터베이스 및 통합시스템 구축이 진행된다.오는 2003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성숙기에는 지식정보시스템이 산하기관으로 확대되고 본부·지방청·산하기관의 전 응용시스템과 지식정보시스템과의 연계작업이 완료된다. 또 부문별 통합시스템 구축 및 웹 환경으로의 변환도 함께 추진된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해수부와 산하기관에 접근할 수 있는관문역할을 하는 ‘해양지식포털(OK―포털)’을 구현할 계획이다.◈2010년까지 종합정보화 사업 추진=지금까지 해수부 내 각 부서 중심으로 추진돼온 해양·해운항만·수산어업·기관운영 등의 정보화 사업들도 지식경영시스템 도입과 연계 하에 종합적인 청사진 하에서 추진된다. 해수부는 다음달말까지 10개년 종합계획이 나오는 대로 사업진행에 부처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이 계획에서는 ▲해양환경·해양과학·연안관리·해양지리·해양조사자료·전자해도 등 해양정보시스템 구축사업과 ▲항만운영·해운선원·부두·갑문시설물관리 등 해운항만 부문 정보화 사업 ▲수산물유통·어업자원관리·어촌정보화 등 수산어업 부문 정보화 ▲지방해양수산청·국립수산진흥원·국립해양조사원·국립수산물검사소·어업지도선관리사무소·중앙해양안전심판원 등 산하기관 정보화 등 해수부의 전 정보화사업에 대한 시기별 추진방안이 수립될 전망이다.해수부 관계자는 “이번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해 출범 5년을 맞은 해수부의 정보화사업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