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IBM, HP, NEC 등 업체들은 리눅스를 좀더 강력한 것으로 만들어 공개소스 개발자들이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연구소를 세울 계획을 세웠다.전통적인 하드웨어 벤더들은 세간에서 가장 인기 있는 클럽인 리눅스의 멤버십을 한결 같이 원하고 있다. 지난 30일 인텔, IBM, 휴렛팩커드, NEC USA가 공개소스 개발 연구소(OSDL) 설립을 발표했다.이 연구소의 제 1의 목적은 리눅스를 좀 더 신뢰할 만하고 공급 가능하며 서비스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 기업 컴퓨팅 요구에 보다 잘 부합하는 데 있다.인텔의 아키텍처 솔루션 개발 그룹 담당 부사장인 윌 스워프는 이 연구소를 하이엔드 리눅스 애플리케이션 실험 및 개발을 위한 개발 시설로 표현했다. 벤더들은 OSDL에서 기업 컴퓨팅 시스템용으로 개발하고 있는 리눅스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체제 확장 실험이 가능해 졌다. 최초의 연구 시설인 OSDL은 인텔, IBM, HP 3사가 각각 영업소를 갖고 있는 오레건주 포트랜드에 설립될 예정이다. 이들 회사는 각각의 이사를 두고 독립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들 4개의 멤버 기업들은 시간을 두고 인터넷으로 연결된 몇 개 장소를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장차 OSDL은 수많은 리눅스 연구소들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OSDL 멤버 기업들의 설명에 따르면, 이런 연구소들은 지금까지 대부분 웹을 통해 의사소통을 해오던 개발자들에게 물리적인 회합 장소를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 많은 리눅스 개발자들은 하이엔드 장비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지만 OSDL은 이런 장비도 제공한다.4개 멤버 기업들은 리눅스 창안자인 리누스 토발즈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토발즈는 이에 대한 논평은 하지 않았다.연구소 창립 멤버인 4개 기업들은 레드햇, 터보리눅스, 리눅스캐어, VA 리눅스 시스템 등 일부 일류 상용 리눅스 벤더들의 후원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급가능성 추진일례로 IBM은 기업 환경에서 사용되는 리눅스 버전에 많은 개선이 이뤄지길 바랄 것이다.IBM용 유닉스 소프트웨어 담당 부사장인 로스 모리는 “SMP 스케일링, NUMA 기능, RAS 기능, 시스템 관리 기술을 개선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 연구소는 커널을 기업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이 달 초 리눅스월드 무역 박람회에서 IBM 리눅스 프로그램 이사인 댄 프라이는 리눅스가 어떻게 개선되기를 바라는지에 대한 IBM의 시각을 재차 강조했다.프라이는 “리눅스는 매우 신뢰할 만하다. 하지만 공급 가능성이나 서비스 가능성은 높지 않다. 우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해야 한다. 리눅스용 API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