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강북본부 부지 개발에 따른 부동산 분양이익 반영으로 호실적을 내놨다.
KT가 연결기준 3분기 매출 7조1천267억원, 영업이익 5천382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1%, 영업이익은 16.0% 증가한 수치다.
별도기준 매출은 5조1천90억원, 영업이익은 3천409억원을 달성했다.
무선 사업 매출은 4.0% 증가한 1조8천96억원을 기록했다. 무선 서비스 매출은 1조7천336억원으로 연간 4.7% 늘었다. 3분기 말 기준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80.7%를 차지했다. 5G 핸드셋 가입자는 1천104만8천이다.
유선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조3천319억원을 기록햇다. 인터넷 사업 매출이 2.3% 증가한 6천367억원, 미디어 사업은 5천3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저수익 사업의 합리화 영향이 이어졌으나, 기업메시징과 기업인터넷 등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한 9천327억원을 기록했다.
AI, IT 매출은 일부 사업의 구조개선과 DBO 사업의 기저효과 영향으로 2천93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한 수치다.
KT클라우드는 전년 동기 대비 20.3% 증가한 2천49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데이터센터와 AI,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AI 클라우드 사업 수주가 확대되고, 가산 AIDC 완공으로 신규 데이터센터가 확보되면서 DC 및 클라우드 사업 모두 안정적인 매출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KT에스테이트는 1천86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23.9% 증가한 수치다. 오피스와 호텔 등 임대 부문이 고르게 확대되는 등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늘었다. 특히 호텔 부문은 숙박 수요 회복과 신규 호텔 개관 효과가 더해지며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콘텐츠 자회사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편수 감소로 매출이 줄었다.
케이뱅크의 9월 말 기준 고객 수는 1천497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00만 명 늘었다. 수신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한 30조4천억원, 여신 잔액은 10.3% 증가한 17조9천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대표이사 후보군 구성 논의를 시작으로 차기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공식 개시했으며 연내 대표이사 후보 1인을 확정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사외이사 8인으로 구성돼 있으며 외부 전문기관 추천, 공개 모집, 주주 추천(0.5% 이상 6개월 이상 보유), 사내 후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후보군을 구성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정부 "KT, 작년 43개 서버 악성코드 발견하고 숨겼다"2025.11.06
- KT클라우드, 액체 냉각 '가산 AI 데이터센터' 가동…"인프라 시장 선도"2025.11.06
- 새로운 KT CEO 후보자 찾기 시작됐다2025.11.04
- 김영섭 KT 사장, 대표이사직 연임 포기2025.11.04
이후 이사회에서 최종 후보 1인을 확정하고 주주총회에 추천하면, 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가 최종 선임된다.
장민 KT CFO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고객 보호 조치를 신속히 이행하는 동시에 정보보호 체계와 네트워크 관리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기반으로 주주환원 정책을 충실히 이행해 시장 신뢰를 높이고, 통신 본업과 AX 사업의 성장을 통해 지속적인 기업가치 제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