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유가하락' 세계증시 '블랙 먼데이'

미국 S&P 500, 서킷브레이커 발동…유럽증시도 7%대 하락

금융입력 :2020/03/10 08:21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글로벌 확산과 국제 유가 하락으로 전 세계 증시가 7~8%대 하락하면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블랙 먼데이'를 보냈다.

9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 주요국의 주가 지수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미국에선 S&P 500 지수가 개장 초기 7% 하락하면서 1997년 이후 처음으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다우존스 산업 평균 지수(다우 지수) 는 전 거래일보다 7.79%(2014포인트) 하락한 23851.02에 마감했으며, S&P 500도 전 거래일 대비 7.6%(225.81포인트) 떨어진 2746.56 으로 마감했다. 다우 지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미국 증권거래소.(사진=뉴스1)

영국과 독일 등 유럽의 증시도 전 거래일 대비 7%대 하락했다. 영국 FTSE 100 지수는 7.69%, 독일 DAX 30 지수 7.94%, 프랑스 CAC 40 지수 8.39%, 스톡스600 지수 7.44% 떨어졌다.

글로벌 증시가 불안한 흐름을 보이면서 세계 변동성을 보여주는 변동성 지수(VIX)는 52주 최고점을 찍었다. 변동성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9.85%(12.52 포인트) 오른 54.46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코로나19로 인한 투자들의 불안심리와 글로벌 경제 위축 등이 증시에 반영된 결과다. 여기에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석유 생산량 증가로 유가가 급격히 하락해, 투자 심리를 얼어붙게 만들었다. 브렌트유와 미국 서부 중질유 등이 30% 이상 떨어지면서 쉘이나 쉐브론 같은 석유회사 주가도 15% 이상 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성이 커지면서 상대적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 가격은 1온스당 1천700달러로, 7년 내 최고가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