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텔레콤, ‘스마트학사정보관리’ 시장 넓힌다

비정규 교육과정 시장 개척…정유니브-티엔에스아이티와 MOU 체결

방송/통신입력 :2020/02/26 09:10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학사정보관리 플랫폼(SER)’이 정규 교육뿐만 아니라 비정규 교육과정 및 기업의 인재관리 프로그램에도 적용되는 등 산업전방위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세종텔레콤(대표 김형진)이 소프트웨어 개발사인 정유니브(대표 정유신), 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 전문 기업인 티엔에스아이티(대표 정춘엽)와 ‘블록체인 시스템 공급 사업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2개사가 개발 및 산업체에 구축한 소프트웨어에 ‘스마트 학사정보관리 플랫폼(SER)’을 적용키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들 기업은 현재 플랫폼과 소프트웨어의 호환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세종텔레콤은 SER 등 블록체인 시스템을 공급하는 역할을, 정유니브는 전국 250여 대학과 평생교육원 등 다양한 레퍼런스를 보유해 기 구축한 학사정보시스템에 SER의 연동을 위한 영업활동을 지원한다.

학사정보관리는 정규과정과 비정규과정으로 나뉘며 시장규모는 비정규과정(평생교육원, 외국어교육, 대학원 석·박사 학위과정 등)이 크나 검증과정이 불명확해 블록체인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왼쪽부터 최희철 티엔에스아이티 이사, 강효상 세종텔레콤 본부장 , 정문국 정유니브 이사가 ‘블록체인 시스템 공급 사업을 위한 MOU를 체결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티엔에스아이티는 평생교육원 이외에 기업의 인사, 교육관리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자체 IDC(인터넷 데이터 센터)를 통해 기술지원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고 있다. 세종텔레콤은 이번 MOU로 SER이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채용 노무와 교육이 이뤄지는 인재 관리 프로그램 분야로 시장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SER의 제품공급-판매-설치 및 유지보수 등 전 과정이 통합관리 솔루션 형태로 제공돼 고객 입장에서는 더 많은 안정성과 유연성, 비용절감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게 세종텔레콤 측의 설명이다.

향후 참여사들은 ▲블록체인 기술의 시스템 연계 ▲서비스 다양화 ▲가격정책 확립 등 상품 공동 기획을 목표로 하며 안정적인 서버 운영에도 적극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 학사정보관리 플랫폼은 지난해 정보통신사업진흥원(NIPA)로부터 기술검증 지원 사업(PoC) 우수사례로 선정된 서비스로, 세종텔레콤의 BaaS형 프라이빗 블록체인 메인넷 블루브릭이 적용돼 데이터 보안과 투명성을 제고했다.

관련기사

기업 인사담당자들의 경우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으로 개발된 SER를 통해 그동안 입사 지원자들이 제출한 각종 학사 정보 및 증명서의 유효성 검증 업무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어져 업무 효율이 대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효상 세종텔레콤 통신사업본부장은 “블록체인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 경쟁력 확보는 물론, 실제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제공과 유통채널 확보가 중요하다"면서 "이번 협약식이 블록체인 사업의 인프라 구축과 시장선점을 위한 새로운 모멘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