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표원, 4차 산업혁명 국제표준 선점 박차

‘2020년 국제표준활동지원계획’ 마련…산·학·연 전문가 활동 지원

디지털경제입력 :2020/02/12 10:48

정부가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 산업 분야 국제표준화를 선점하기 위해 산·학·연 민간 전문가 활동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민간 표준 전문가의 국제표준화기구(ISO·IEC) 기술위원회 회의 참가 ▲국제표준화 회의 국내 개최 ▲국제표준화기구 기술위원회 의장·간사 활동 지원 등을 포함한 ‘2020년도 국제표준활동 지원계획’을 수립해 12일 발표했다.

올해 국제표준화기구 기술위원회(분과위원회, 작업반 포함) 회의에 산학연 민간전문가 등 연간 320명이 참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국내에서도 30회에 이르는 국제표준화 기술위원회 및 관련 대응 회의를 개최한다.

국표원은 차세대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DNA(데이터·네트워크·AI)와 BIG3(바이오·미래차·시스템반도체)를 비롯한 혁신 산업 분야 국제표준화 활동을 중점 지원한다.

이승우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장이 30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20 표준유관기관 신년인사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또 시장 중심 혁신기술을 주도하는 사실상 표준화기구에도 공적 국제표준(ISO·IEC)과 연계해 스타트업·중소중견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사실상표준화 전략 협의체’를 통해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지난 해 국제표준화기구(ISO) 총회에서 이사국 진출에 성공하면서 양대 국제표준화기구(ISO·IEC) 정책 이사회에 모두 진출하게 된 만큼 선진국과 개도국을 잇는 가교 역할과 신북방·신남방·아프리카 지역 회원국 등과의 표준화 협력을 강화해 국제무대에서 위상을 한층 높여 나갈 계획이다.

한중일 3개국이 참여하는 동북아표준협력포럼(5월)과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YP 교육 프로그램(5월), 국제표준올림피아드(8월) 등의 행사를 국내에서 개최하고 태평양지역표준협의회(PASC) 총회(5월, 러시아), 아프리카표준화기구(ARSO) 총회(6월, 우간다) 및 한-독 표준협력대화(9월, 독일)에도 참가한다.

국표원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임원으로 활동하는 민간전문가들이 우리나라 표준 정책을 반영하고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지원하는 표준 외교관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 임원 간 모임인 ‘국제표준리더스클럽’을 운영, 국제표준화 동향 공유 및 교류협력 할 수 있도록 세미나와 성과보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국제표준화기구에서 활동하는 우리나라 임원 수임자는 2002년 10명 수준에서 매년 증가해 지난해 말 기준 216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20명이 기술위원회 의장으로, 29명은 간사로, 167명은 컨비너(작업반 의장)로 활동하고 있다.

관련기사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관련해서는 국제·국내행사를 개최하거나 참가할 때 국제표준화기구(ISO·IEC) 권고사항과 산업부 ‘신종 코로나 관련 통합 행동요령‘에 따라 감염증 예방에 만전을 기해 국제표준화 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산업의 국제표준화를 주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기업을 비롯한 민간의 관심과 참여가 중요하다”면서 “산학연 민간전문가들이 국제무대에서 경험과 네트워크를 충분히 쌓아 글로벌 표준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2023년까지 국제표준 제안 300종, 의장단 진출 60명 달성을 이루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