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웅 레이컴 대표 "작은 센서가 작업자 안전의 출발점"

초기 인프라 구축 후 다양하게 센서 활용 가능

컴퓨팅입력 :2020/02/10 16:16    수정: 2020/02/10 17:18

작은 센서를 작업복이나 건물 기둥에 붙이는 것만으로도 작업장에서 최소한의 안전 장치가 된다.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사망률은 2018년 기준 1만 명당 1.19명으로, 비슷한 경제 수준을 가진 이스라엘과 비교해 3배 이상 높다. 노동자 안전을 IT 기술과 빅데이터로 보다 ‘똑똑하게’ 지켜주는 기술이 요구된다.

신성웅 레이컴 대표는 최근 인터뷰를 통해 "레이컴은 IoT를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회사"라며 "우리 IoT 체계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센서들은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만드는데 출발점이 된다"고 말했다.

레이컴은 스마트 안전 관리 솔루션을 개발 제공하는 회사다. 2018년 설립된 레이컴은 구매 공급망관리(SCM)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엠로의 자회사로, 작년부터 다수의 적용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 레이컴은 사물에 센서를 붙여 네트워크 안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IoT 기술을 주로 사용한다. 어떤 현상을 감지하는 센서와 이를 매개하는 앱과 관련한 기술에 집중한다.

신성웅 대표는 “우리 IoT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을 타는 한 외국인 노동자를 인터뷰 했는데, 그는 이 작은 센서가 작동하는 원리에 대해선 몰라도 혹시나 무슨 일이 있으면 지켜줄 것 같아 꼭 차고 다닌다고 했다”며 “외국인 선원들의 경우 스마트폰도 잘 안 갖고 다니고 말도 안 통하는데, 위급상황 발생시 이를 알리는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신성웅 레이컴 대표.

레이컴의 산업 안전 솔루션에 사용되는 센서 종류는 7종이나 된다. CO2, VOC, 진동, 온·습도, 소음, 미세먼지, 화재 상황 등을 감지한다. 건설토목, 제조, 테마파크, 선박 및 해양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된다. 센서가 수집한 정보는 그 정보를 처리 및 관제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특히 작년 10월 특허를 획득한 균열 감지 모니터링 플랫폼은 서울시 노후건물 관리에 시범 사용될 예정이다. 서울시 과제에 선정돼 제품 개발시 지원을 받았으며, 서울의 건물 및 시설에 실제 사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서울시가 해당 플랫폼을 도입할 노후 건물 및 시설을 선정한다. 균열 뿐 아니라 진동도 감지한다. 정확하고 즉각적인 노후 건물 관리가 가능하며, 사람이 자주 들어가기 어려운 공간에서 특히 유용하다.

신 대표는 “최근 특허를 취득한 균열 모니터 플랫폼은 현재 양산 과정에 들어갔다”며 “한번 부착함으로써 3년 이상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서울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실제 서울 시민들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면 큰 보람을 느낄 것 같다”며 “좋은 사례를 만들어 다른 지자체나 기업에서도 우리의 플랫폼의 가치를 알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레이컴의 균열 모니터링 플랫폼에 사용되는 감지 센서.

작업자의 몸에 센서를 붙이기도 한다. 작업자가 패용하는 카드에 부착된 센서는 선박, 제조 공장 등에서의 일하는 노동자들의 안전에 도움이 된다. 사람이 많이 드나들지 않는 곳에서 일하는 작업자가 일정 시간동안 움직임이 없을 경우, 선원이 선박과 수백 미터 떨어지게 될 경우 등을 위험 상황으로 간주해 플랫폼에 경보를 띄운다.

신 대표는 “길이 300m 가까이 되는 벌크선은 하나의 공장과도 같은데, 배 중간 중간에 부착된 비콘 기기를 중심 센서를 부착한 직원이 지나가면 위치가 대시보드에 나타난다”며 “배 밖에서는 GPS 체계로 전환돼 작업자와 배와의 거리를 계산해 위험 상황을 감지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시스템을 도입한 선박 회사도 처음엔 반신반의 했으나, 적용 후 작업자 관리가 잘 돼 반응이 좋았고 안전 관리에서 더 나아가 업무 지시도 쉬워졌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레이컴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위험 상황뿐 아니라 사고 징후를 사전에 파악해 예방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센서를 통해 수집한 오프라인 안전 정보를 빅데이터화 하는 것이 핵심이다.

신 대표는 “데이터를 시간이 지나 소멸하게 내버려두지 않고, 이를 디지털 정보로 축적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서 “현재는 데이터를 모으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신 대표는 무엇보다 스마트 안전 관리에 대한 업계의 인식이 높아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는 “센서를 부착하고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초기비용이 들지만 일단 인프라가 만들어지면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며 “우리가 좋은 사례들을 만들어 스마트 안전 관리 플랫폼이 널리 확산시키고 동시에 기업들도 보다 전향적으로 안전 관리에 대해 생각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