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수출입 감소 여파로 지난해 항공화물 3.8% 줄어

항공여객은 5% 늘어난 1억2337만명 역대 최고…국제선 5.2% 늘어

디지털경제입력 :2020/01/29 12:11

대한항공 여객기가 공항 주기장에서 비행대기하고 있다
대한항공 여객기가 공항 주기장에서 비행대기하고 있다

지난해 수출과 수입 물량이 감소하면서 반도체·휴대폰 등 정보기술(IT) 제품을 운송하는 2019년 항공화물량이 전년도보다 3.8% 감소한 427만톤에 그쳤다. 반면에 항공여객은 전년보다 5% 늘어난 1억2천337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2019년 항공운송시장 동향’에 따르면 국제선과 국내선 여객은 전년보다 각각 5.2%와 4.4% 증가했다.

국제선 여객은 일본 및 홍콩노선 여객 감소에도 중국·아시아 등 노선 다변화와 내외국인 여행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보다 5.2% 증가한 9천39만명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전년보다 11.6% 감소한 일본을 제외한 중국(14.4%), 아시아(11.6%), 유럽(9.4%) 노선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일본노선은 지난해 수출규제 조치 영향으로 2019년 여객이 8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중국노선은 1천843만명을 기록했다. 사드(2017년 3월) 이전인 2016년 1천986만명 보다는 7.2% 줄었지만 전년도 보다는 14.4% 증가했다.

홍콩노선은 홍콩 시위 여파로 8월 이후 하락세가 두드러지면서 여객이 10.4% 감소했다.

공항별로는 중국·아시아 노선 여객 증가에 따라 인천(4.3%)·제주(40.7%)·무안(110.2%)·청주(55.9%) 공항 등이 성장세를 보였다. 김해(-2.7%)·김포(-0.4%)·양양(-14%)공항은 일본노선 여객 감소 영향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항공사별로는 국내 대형항공사(FSC)가 전년보다 0.2% 증가했고 저비용항공사(LCC)는 6.3% 증가했다.

국내선 여객은 내외국인 제주여행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보다 4.4% 증가한 3천298만명을 기록했다.

공항별로는 제주노선 여객이 증가된 청주(17.7%)·여수(8.3%) 공항 실적 증가가 두드러졌다. 국내선 주요 공항인 김포(4.3%)·제주(4.1%) 공항도 전년보다 실적이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내 FSC 국내여객 운송량이 1천391만명으로 전년보다 6.3% 증가했고 LCC의 경우 1천907만명으로 3% 늘어났다.

항공화물은 미중 무역분쟁 영향에 따른 세계 교역량 둔화로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컴퓨터 등 IT제품 등 국제화물이 3.7% 감소했고 국내화물도 순화물이 16% 감소해 전년보다 3.8% 하락한 427만톤을 기록했다.

국제화물은 국제선 여객 증가에 따른 수하물이 3.7% 증가했음에도 IT 화물이 감소하고 화물기 운항도 전년도 3만6천358편에서 3만5천345편으로 줄어든 영향을 받아 3.7% 감소한 402만톤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1.1% 증가한 아시아를 제외한 전 지역이 감소했다.

국내화물은 수하물이 3.1% 증가했지만 순화물이 16% 감소했다. 내륙(-0.9%)과 제주노선(-5.8%) 모두 화물이 감소해 전년보다 5.3% 하락한 26만톤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김이탁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일본·홍콩노선 부진에도 중국·아시아 등 항공노선 다변화, 내외국인 항공여행 수요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항공여객이 역대 최고실적을 달성했고 항공여객 1억명 돌파시점도 전년도의 11월 1일보다 10일 가량 앞당겼다”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이어 “올해에도 전략적 항공회담 등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항공산업의 지속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 대내외 변수가 항공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 모니터링하고 관계기관 및 업계와 긴밀하게 협업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