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종사자 50대가 34.4%...274만개 중 제조업이 13%

중기부-통계청, '2018년 소상공인 실태 조사' 발표

중기/벤처입력 :2019/12/27 15:13    수정: 2019/12/27 16:26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274만개고 이중 제조업은 13%에 달했다. 종사자 연령은 50대가 가장 많고(34.4%), 개인사업자가 90.8%를 차지했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와 통계청(청장 강신욱)은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기준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소상공인 사업체는 274만개고, 이 중 개인사업자는 249만개(90.8%), 법인사업자는 25만개(9.2%)에 달했다. 산업별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도매 및 소매업(89만개), 숙박 및 음식점업(65만개), 제조업(36만개), 수리 및 기타서비스업(29만개) 순으로 조사됐다.

소상공인 종사자는 632만명이고, 이 중 개인사업자 종사자는 534만명(84.5%), 법인사업자 종사자는 98만명(15.5%)으로 집계됐다.

또 산업별 소상공인 종사자 수는 도매 및 소매업(183만명), 숙박 및 음식점업(155만명), 제조업(118만명), 수리 및 기타서비스업(44만명) 순으로 조사됐다.

연령은 50대(34.4%)가 가장 많고, 40대(27.0%), 60대 이상(23.3%), 30대(12.9%), 20대 이하(2.4%) 순으로 나타났다.

창업 준비기간은 평균 9.5개월이였고, 평균 창업비용은 1억 300만원, 이중 본인부담금은 7200만원(70.0%)으로 조사됐다. 창업 동기는 '자신만의 사업경영'이 58.6%로 가장 높았고, ‘수입이 더 많을 것 같아서’(31.1%), ‘임금근로자 취업이 어려워서’(7.8%)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사업체당 매출액은 연 2억 3500만원(월1958만원)이었고, 영업이익은 연 3400만원(월 283만원)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상 어려움은 상권쇠퇴(45.1%), 경쟁심화(43.3%), 원재료비(30.2%), 최저임금(18.0%)순으로 응답했다.

정부는 이번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를 참고, 소상공인 경영안정 지원과 자생력 강화 정책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우선 소상공인 경영안정 지원을 위해 새해에는 정책자금 2.3조원(’19. 2.2조원)을 지원하고, 25만개 소상공인 사업장이 활용할 수 있는 5조원 규모의 추가 자금도 공급하다. 저신용 소상공인 전용자금을 500억원(‘19. 300억원)으로 확대했고, 골목상권 전용 상품권 5.5조원(‘19. 4.5조원) 발행을 통해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도 돕는다.

예비창업자에게는 신사업창업사관학교를 통해 신사업 아이템 교육과 점포경영 체험, 창업 멘토링, 사업화자금 등을 지원하고, 한계 소상공인의 원활한 재기를 도와주는 재기지원센터 운영, 전직 장려 수당, 교육 및 재창업 멘토링도 추진한다.

또 온라인 쇼핑 증가에 따른 소상공인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라 ‘가치삽시다 TV(유튜브채널)’ 개설, 온라인 쇼핑몰 입점 등 소상공인 온라인 진출을 지원(‘19. 75 → ’20. 313억원)하고, 4차산업혁명 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상점도 보급을 확대한다.

관련기사

경영상 어려움으로 조사된 상권쇠퇴, 경쟁심화, 원재료비 부담에 대응, 상권르네상스 사업(‘20년까지 누계 19개 지정)과 전통시장 역량강화 프로젝트를 통한 골목상권을 육성하는 한편 소상공인이 안정적으로 영업할 수 있도록 상권내몰림(젠트리피케이션) 방지 내용을 담은 지역상권법 제정도 추진 중이다.

상권정보시스템을 통해 상권분석, 입지분석 등 정보를 제공해 과당경쟁을 예방하고, 의제매입 세액공제 특례 적용기한 연장(‘20년말까지), 성실사업자 의료비 및 교육비 세액공제 요건 완화 및 규제개선 등을 통해 부담을 덜어줄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