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용 양자암호 시험통신망 첫 개통

대전지역 50km 구축...2022년까지 서울~대전 150km 연장

방송/통신입력 :2019/12/20 14:5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가정보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4개 기관이 함께 대전지역 내 약 50km에 달하는 국가용 양자암호시험통신망을 20일 개통했다.

양자암호통신은 양자역학 원리를 이용한 암호체계로 현존 암호통신 가운데 가장 보안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가 주요통신망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국가정보원에서는 국가 사이버 안보기본계획 시행 등 국가용 양자암호 개발을 주관하고,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는 이를 위한 양자암호통신 장비 및 체계에 대한 연구개발을 수행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차세대 양자암호통신을 위한 송수신 장비 원천기술을 연구하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이 기술과 장비를 사용해 국가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기반으로 국가용 양자암호 시험통신망을 구축, 관리한다.

사진 = 이미지투데이

참여기관은 양자암호 시험통신망을 향후 2022년까지 서울과 대전을 잇는 약 150km로 연장할 예정이다. 이를 활용해 국가 공공기관, 중요 연구기관, 군 등에 활용 가능한 국가용 양자암호 기술과 소자 부품을 개발하고, 상용망 검증을 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조현숙 국가보안기술연구소장은 “양자암호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성숙되고 있는데, 시험망 개통은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 국가에 적용하기 위한 관련 기관 간의 협력을 제고할 수 있어 의의가 크다”며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앞으로도 양자암호기술 개발 및 상용 양자암호를 국가공공기관에 도입하기 위한 검증기술 개발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희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은 “차세대 보안통신 기술인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국가 과학기술연구망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2020년부터 시작되는 양자암호 기반의 차세대 국가연구망(QKNet) 구축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국가 중요 연구데이터의 안전한 전송공유 환경을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