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네트워크 출범...3차 규제특구 지정 등 준비

14개 광역자체 참여...각 지역에 맞는 특구 사업 발굴

중기/벤처입력 :2019/12/05 15:12    수정: 2019/12/05 15:21

지자체에 적합한 특구사업을 발굴하고, 체계적인 계획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14개 시도별 지역혁신네트워크가 운영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지역별 혁신네트워크 구성을 완료하고 5일 전라남도 여수에서 ‘규제자유특구 지역혁신네트워크’ 출범식을 개최했다.

출범식에는 중기부 김희천 규제자유특구기획단장과 지방중기청장, 지자체 담당국(과)장, 지역별 특구옴부즈만, 규제자유특구 실무지원단(TP) 등이 참석했다.

지역혁신네트워크는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지역 광역 지자체 부단체장(위원장), 시도국장(간사), 지방중소벤처기업청장(간사), 연구기관, 특구옴부즈만 등 전문가 15인 내외로 구성, 이날 본격 활동에 들어갔다.

지역별로 월 1회 이상 정기 모임을 갖고 기업의 혁신기술 수요 파악과 특구사업 발굴에 나선다. 지역에 있는 혁신기업의 신기술 개발과 관련한 애로가 특구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분기별로 1회 이상 지역혁신기업 간담회도 진행한다.

또, 분기별로 14개 지역혁신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특구사업 발굴과 사업내용 보완 활동도 한다. 이미 지정된 특구 성과를 공유, 지역간 협력도 원활히 추진될 수 있게 운영한다.

관련기사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28~29일 특구박람회를 개최했는데, 이때 기업이 특구사업과 관련해 제안한 사항도 구체화할 수 있게 추진한다. 특구박람회에서 46개 기업이 지역 특구사업 참여를 희망했고, 21개 기업이 특구사업에 추가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상담을 한 기업은 경북 햄프산업(의료용 蔘), 광주와 경남의 AI의료, 대구 작업로봇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특히, AI의료 사업 중 센서가 적용된 노인용 기저귀 및 이물질 감지 의료기기 등을 활용하는 방안과 작업로봇 특구에 재활의료 로봇을 추가하는 내용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다.

출범식 세레모니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