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손보사 상반기 당기순익 30% 뚝…"보험료 인상필요"

"자동차·실손보험 지금 보험료로 감당 안돼"

금융입력 :2019/08/16 10:21    수정: 2019/08/16 10:35

5대 손해보험사(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메리츠화재·한화손해보험)의 올해 상반기 실적이 부진했다. 5개 손해보험사의 당기순익 하락폭은 2018년 상반기 대비 33.8%로 떨어졌다. 그나마 메리츠화재만 실적이 올랐다.

손해보험사들은 모두 자동차보험과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을 현재 보험료로 감당하기 어렵다며, 보험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16일 손해보험 업계가 공개한 2019년 상반기 실적을 살펴보면 올해 상반기 삼성화재의 당기순익은 4천261억원으로 2018년 상반기 6천656억원 대비 36.0%나 떨어졌다. 디비(DB)손해보험은 2천63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동기 대비 31.3%, 현대해상은 1천63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1%가 하락했다. 한화손해보험은 올해 상반기 실적이 1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8%나 떨어졌다.

손해보험사의 실적 부진에 대해 손해보험사 관계자들은 "예견된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자동차보험과 실손보험의 보험료는 큰 폭의 상향 조정이 없는 상황에서 나가는 돈은 매번 불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즉, 손해보험사의 주력 상품이고 가입자 비중이 가장 큰 자동차와 실손보험의 손해율이 높아 빚어진 결과라는 것이다.

(사진=픽사베이)

하지만 손해보험사는 올해 이미 두 번이나 자동차 보험료를 인상했다. 올 1월 3~4% 자동차 보험료가 올랐으며, 지난 5월 대법원 판결로 표준약관을 개정, 1~2%의 인상을 한 바 있다. 앞서 2016년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시절 '보험료 자율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채널 규제가 풀리고, 보험료가 올랐다.

실제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의 사전적 정의만 놓고 보면 5대 손해보험사의 실적 급감에는 자동차보험 손해율을 직접 연관짓기는 어렵다. 낸 보험료 대비 발생한 손해액의 비중을 손해율이 모두 100%를 하회하고 있어서다. 100%가 초과하면 받는 보험료 대비 손해액이 커짐을 의미한다. 올해 상반기 삼성화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7.1%, DB손해보험(86.6%)·현대해상(86.4%)·메리츠화재(84.7%)·한화손해보험(90.6%)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인건비와 물가상승률에 따른 보험금(보상 압력)이 치솟고 있음을 감안해달라고 지적했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최저임금비가 오르면서 자동차 정비 수가와 공임비 등이 올랐고 물가도 상승해 도색에 필요한 물품 값도 증가했다. 의료비 역시 마찬가지"라며 "보상 압력이 올라오고 있는데도 불구 보험료만 그대로"라고 설명했다. 또 자동차보험 가입자를 늘리기 위한 갖가지 할인특약 경쟁도 손해보험사의 실적에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자동차보험의 경우 손해율이 1%p만 증가해도 보험사에 미치는 타격이 높다. 메리츠화재도 영업 실적 개선을 위해 손해율이 높은 자동차보험보다는 적은 장기인보험 집중하는 것도 그 이유"라고 말했다. 올 상반기 5대 손해보험사 중 상반기 실적이 증가한 메리츠화재는 자동차보험보다는 장기 인보험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다만, 손해보험업계의 주장대로 실손보험 손해율은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화재의 올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1.7%다. DB손해보험은 119%, 현대해상은 147.4%, 메리츠화재 115.6%이다. 모두 100%를 상회하면서 오히려 팔 수록 손해가 나는 실정이다.

보험연구원이 낸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전년 대비 실손보험의 손해액은 15.7% 증가했으나 올해 1분기에만 전년 동기 비 19.0% 증가했다. 실손보험의 손해액이 지속적으로 커질 경우 손해보험사의 실적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손해보험업계에서는 비급여 진료 항목에 대한 적절한 통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17년 4월 출시된 '신 실손보험'에 도수치료와 비급여 주사제, 엠알아이(MRI)를 특약으로 가입할 수 있게 했음에도, 이 같은 비급여 진료비 청구가 늘어나 손해액도 동반 상승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보험연구원 이태열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실손보험 총 보유 계약 건수는 2016년 3천330만건, 2018년 3천422만건으로 사실상 정체되고 있어 손해액 급증 현상은 의료비 상승에 따른 보험금 지급 증가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시민의 총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급여 의료비의 적정성도 살펴야 하는데, 공·사 간 협력해 비급여 의료비 표준화, 전문심사기관 비급여 의료비 적정성 심사 등의 대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