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활용 진흥, 조직별 맞춤형 지원이 급선무

전체 산업 생태계 조성 정책만으로는 한계

방송/통신입력 :2019/06/21 17:32

빅데이터 활용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산업 생태계 조성 정책 뿐 아니라 전문인력 양성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실제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는 기업이나 기관의 눈높이에 맞는 빅데이터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이 급선무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거시적인 산업 생태계 조성 정책도 필요하지만 현재 상황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고, 이에 맞는 미시적 정책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국회 입법조사처가 내놓은 빅데이터 활용 현황과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기준 한국의 빅데이터 활용 순위는 63개국 가운데 31위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빅데이터 산업 진흥을 위해 개인정보 활용이나 산업 생태계 조성과 같은 정책이 쏟아지고 있지만, 한국의 빅데이터 활용 수준은 주요 선진국이나 경쟁국 대비 크게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사진 = 이미지투데이

국내 통계에서도 빅데이터 도입률을 따져보면 국내 기업과 기관의 도입률은 평균 10%대에 머물렀다. 나머지 90%는 빅데이터를 여전히 도입하지않고 있다는 것이다.

업종 별로 금융업, 공공, 통신 미디어, 제조, 유통 서비스 정도만 10%를 넘어서고 타산업은 빅데이터 도입률이 10%에도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현상을 두고 기업이나 기관들은 빅데이터의 도입 효과에 대한 신뢰보다 관련된 전문인력이 부재하다는 답변을 내놓은 점이 주목할 부분이다.

즉, 조직 내부에 전문인력이 없기 때문에 빅데이터 도입을 미루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의 구조적 문제 해결책인 생태계 조성과 같은 정책보다 개별 기업과 기관에 맞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입법조사처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입법조사처는 “조직마다 필요한 전문인력의 기능과 수준, 데이터의 유형과 규모, 효과에 대한 인식 수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기업 기관 별 맞춤형 대응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문인력의 부재도 외부 전문기관의 도움으로 보완할 수 있다”면서 “기업 기관 차원의 대응과 산업 생태계 차원의 대응을 균형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