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35개 'ICT 표준화 포럼' 지원

중소·벤처 기업 글로벌 대응력 향상 목적

방송/통신입력 :2019/02/26 12:50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글로벌 시장 내 ICT 표준화 움직임에 국내 기업이 전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ICT 표준화 포럼’ 35개를 지원한다고 26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 발전을 위해 중소·벤처기업의 참여가 중요한 만큼, 국내 기업이 참여하는 표준화 포럼 활동을 지원해 글로벌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표준화 포럼’은 산학연 전문가가 기술·서비스 분야별로 모여 국내 핵심기술의 국제표준화 및 시장에서 필요한 표준의 적시개발 등 산업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구성한 협의체를 말한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 함께 지난 1월부터 약 40개의 표준화 포럼을 평가해 총 35개의 표준화 포럼을 대상으로 선정했다.

특히 올해는 4차 산업혁명 관련 ICT 표준화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지능형 ICT 핵심기술 분야인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AI) 등 분야와 융합 서비스 혁신 분야에서 7개의 포럼을 신규로 선정했다.

이번에 신규로 선정된 ICT 표준화 포럼은 ▲디지털가상화포럼 ▲에너지프로슈머포럼 ▲지능형반도체포럼 ▲홀로그램융복합산업포럼 ▲ 공공안전통신망포럼 ▲지능형콘텐츠표준화포럼 ▲다차원영상기술표준화포럼 등이다.

관련기사

과기정통부는 선제적으로 표준화가 필요한 최신 ICT 기술 및 융합 분야에 ‘인큐베이팅포럼’을 발굴하고, 향후 표준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자원”이라며 “국내 중소기업이 ICT 표준화 포럼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수 있도록 계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