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인회계사회, 표준감사시간 확정

"투자자 보호 및 기업 부담 최소화 고려"

금융입력 :2019/02/14 10:04

한국공인회계사회가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 보호와 기업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고려해 표준감사시간을 확정했다고 14일 밝혔다.

표준감사시간 제도는 지난해 11월 1일부터 시행된 외부감사법 내용 중 하나로, 감사인은 표준감사시간에 따라 감사를 해야 한다.

공인회계사회 측은 "표준감사시간은 기업의 수용가능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기업은 표준감사시간 적용 시 직전년도 감사시간보다 30% 이상 상승할 경우 30%를 초과하지 않도록 표준감사시간 상승률 상한제에 적용된다. 자산규모 2원 이상 기업은 50% 이상 상승할 경우 50%를 초과하지 않아도 된다.

자산규모 2조원 미만 기업은 단계적으로 적용되며 자산 200억원 미만 중소기업은 표준감사시간 제도 적용에서 빠진다.

관련기사

이밖에 11개 그룹으로 기업을 세분화해 기업별 특성을 반영했다는 게 공인회계사 측 설명이다.

31일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 그랜드볼룸에서 제1회 회계의날 행사가 열렸다. 한국공인회계사회의 최중경 회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사진=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공인회계사회 최중경 회장은 "이번에 확정발표한 표준감사시간은 논의과정에서 제기된 기업측 의견 중 수용가능한 의견은 모두 반영한 결과물"이라면서 "표준감사시간제도가 정착되어 회계투명성이 제고되면 국내외 자본시장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되고 기업가치가 상승하여 국부가 증가되고,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높아져 경제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