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약발 2주?…보조금 다시 꿈틀

일반입력 :2013/04/03 14:17    수정: 2013/04/04 08:45

정윤희 기자

휴대폰 불법 보조금이 다시 부활할 기미를 보이고 있다. 청와대가 나선지 약 보름만이다. 그동안 이통사들의 눈치싸움 속에서 안정화 상태를 이어가던 시장에 갖가지 꼼수 보조금이 등장하는 모습이다.

3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온라인 등 일부 대리점, 판매점 등에서 옵티머스뷰2, 옵티머스G, 베가 넘버6 등에 적게는 42만원에서 많게는 64만원 이상의 휴대폰 보조금이 지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휴대폰 보조금 가이드라인 상한선 27만원을 훌쩍 넘는 금액이다. 일부 이통사의 경우 지난 주말동안 번호이동 건수가 전주보다 68%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단속을 피하기 위해 전화통화, 문자메시지 등으로 추가 보조금 규모를 공유하거나 정책지 외 별도로 단가표 상에 암호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히든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일부 온라인 판매 사이트에서는 단말기 할부원금을 댓글을 통해 제시하는 방식을 사용 중이다. 예컨대 휴대폰 판매 게시글에는 할부원금을 비워놓고 첫 번째 댓글에서 세자리 숫자를 표시해 금액을 알려주는 식이다.

이 같은 현상은 영업정지 이후 시장 안정화에 따른 번호이동 실적 감소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한국통신사업자협회(KTOA)에 따르면 지난달 번호이동 건수는 65만3천422건(자사 번호이동 미포함)으로 집계됐다. 이는 영업정지 기간 중인 지난 2월과 비교해도 22.8% 줄어든 수치다.

통신업계에서는 편법 보조금이 난무하기 시작하면 또다시 난타전으로 흐를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지난달 13일 청와대가 보조금 문제에 강력 대응할 뜻을 밝히면서 시장이 얼어붙었으나 계기만 있으면 언제든지 다시 보조금 경쟁이 불거질 수 있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시장에서는 편법 보조금 외에도 갤럭시S4가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달 말 정도에는 보조금 경쟁이 재현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 정부 눈치를 보고는 있지만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보조금 수준이 다소 올라가기는 했다”며 “현재 같은 시장 경쟁 체제에서는 과잉 보조금을 뿌리 뽑기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