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ACC]"스마트워크 활성화 공공에서 민간으로"

일반입력 :2011/11/23 11:23    수정: 2011/11/23 17:36

김희연 기자

정부가 오는 2015년까지 스마트워크센터(SWC) 15개를 개설하겠다며 스마트워크 확산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스마트워크를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민간영역까지 확대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장광수 행정안전부 정보화전략실장은 2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6회 ACC'에서 감성과 창의성이 강조되는 인간중심의 스마트사회가 도래하면서 일과 삶의 균형이 중요한 가치로 부상했다고 설명했다. 지식근로자 등장으로 결과중심적인 작업이 위주가 됐기 때문에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란 것이다.

이로 인해 스마트워크 활성화와 공공조직의 변화를 위해 정부가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 1인당 노동시간이 OECD평균보다 1.3배나 더 길어 업무생산성은 절반수준”이라면서 “저출산 문제나 저탄소 녹색성장의 미흡으로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업무를 장려해 효율성을 높이도록 정부가 유연한 근무방식을 도입하기 위해 장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스마트워크 도입에 적극 나서기 시작한 것은 지난 7월 20일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 대통령 보고회에서다. 행안부를 중심으로 오는 2015년까지 근로자 30%이상을 스마트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공공형 스마트워크센터를 통해 공공부터 활성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행안부는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핵심추진 과제로 ▲공공기관 우선 도입 후 민간 확대 ▲관련제도 정비로 추진동력 확보 ▲민간 확산 및 문화정착을 추진하고 있다.

그는 “외국에서는 이미 일찍부터 탄력적 근무제도 도입을 통해 업무효율성을 높이도록 장려하고 있다”면서 “현재 행안부를 중심으로 스마트워크를 추진 중에 있으며, 스마트워크 촉진법도 현재 국회에 회부되어 있어 이미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은 실행중에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내년 1월부터는 전 중앙행정기관으로 스마트워크의 정기근무제도 정착시킬 계획이다. 관리자급 공무원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문화를 확산하는 것은 물론 스마트오피스 시범구축을 통해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무공간을 구축한 연동좌석제 실시를 통해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장려한다.

장 실장은 “스마트워크 문화 및 인식확산이 급선무인 만큼 대상별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스마트워크 포럼 운영 등을 통해 국내 스마트워크 도입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