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전기처럼 시간 흐를수록 파급 효과 증폭될 것"

"조기 상용화 성공 위한 정부 시범과제 발굴·망 중립성 완화 필요"

방송/통신입력 :2018/12/13 15:40

"5G는 과거 증기 기관이나 전기와 맞먹는 기반 기술로 봐야 합니다. 사회경제적 가치 구현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오랜 시간이 지난 이후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김재경 KT경제경영연구소 상무가 5G가 상용화 이후 ICT 산업에 끼칠 영향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주최로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13일 열린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 : 5G 데이터 컨퍼런스'에서 김재경 상무는 '5G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주제로 발표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주최로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13일 열린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 : 5G 데이터 컨퍼런스'에서 김재경 상무는 '5G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주제로 발표했다.

5G는 초연결, 초저지연, 초고속이라는 3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다. 4G와 비교하면 네트워크 지연 시간이 0.03~0.05초에서 0.001초 수준으로 줄어들고, 최고 속도도 20Gbps로 4G의 1Gbps 대비 20배 가량 빨라진다. 연결기기 수도 4G 대비 10배 증가해 1제곱킬로미터 당 100만대 연결이 가능해진다.

고도화된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신기술인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엣지 클라우드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각 서비스 별 요구되는 특성에 맞게 망을 분리해 네트워크 인프라 효율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엣지 클라우드는 중앙 처리 방식이던 기존 클라우드와 달리 연결 기기와 가까운 곳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로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초고화질 동영상 스트리밍, 자율주행차, 증강·가상현실, 원격 의료 등 다양한 신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김 상무는 KT경제경영연구소 '5G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를 인용, 오는 2030년까지 5G의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가 최소 47조 8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로는 생산유발액 58조 3천억원, 부가가치는 56조 9천400억원을 촉발할 것으로 봤다. 고용 유발은 34만명 수준으로 분석했다.

사회경제적 가치가 막대하다는 점에서 김 상무는 5G를 과거 전기, 증기 기관과 같은 'GPT(General Purpose Technology)'로 규정했다. GPT는 역사적으로 가장 영향력이 큰 파괴적 기술을 뜻한다.

김 상무는 "5G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산업으로도 가치가 있지만, 타 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기반 기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전기나, 철도 등이 그랬던 것처럼 기술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기까지 시간이 다소 필요할 것으로 보이나, 결국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5G가 이처럼 사회경제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 김 상무는 3가지를 제언했다. 먼저 5G 수요 창출을 키워내기 위한 정부 차원의 선제적 시범 사업 확산이 필요하다고 봤다. 김 상무는 "현재까진 LTE에서 나아가 5G라는 인프라가 필요한지 되묻는 닫힌 시각이 존재하지만 5G가 결합됨으로서 좀 더 편리해지고 의미가 커지는 서비스가 나타날 것으로 본다"며 "정부가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민간 수요 창출을 돕는 시범 사업을 많이 발굴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자율주행 등 5G 융합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망 중립성 완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트래픽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엣지 클라우드가 망 중립성 규제 범주에 포함되는지 전향적인 자세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GPT 역할을 하게 될 5G의 확산을 위해 벤처 기업, 중소 기업의 혁신 서비스, 기술이 다수 등장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생태계 구축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