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후속 인사 '촉각'

차관 인사 완료 계기…산하 협·단체 인사도 주목

방송/통신입력 :2018/08/27 08:3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에 민원기 OECD 디지털경제정책위 의장이 임명됨에 따라, 그 후속 인사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파견과 교육으로 국장급 자리가 두 곳이나 비어있는데다 승진 인사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돼왔고, 장관 취임 만 1년이 지난 시점이어서 부처 인사 파악이 끝난 장관이 적재적소 인사에 나서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제기돼 왔기 때문이다.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안팎의 얘기를 종합하면, 2차관의 교체가 이뤄짐에 따라 후속 인사와 함께 중폭 이상의 인사교체를 예상하는 분위기다.

우선, 이달 파견과 교육으로 공석이 된 전파정책국장과 정보보호정책관 인사에 관심이 쏠린다.

최근 5G 주파수 조기 경매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한 전파정책국은 2차관실에서 통신정책국과 함께 가장 중요 시 되는 요직이다. 또 정보보호정책관 역시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주목받는 자리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에서 우여곡절 끝에 임명된 2차관이 1년여 만에 물러나면서 일각에서는 고위직 인사의 이동도 조심스레 점치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장관이 적재적소 인사를 강조해왔다는 점에서 취임 1년을 막 넘긴 시점이기 때문에 2차관 교체를 계기로 그동안 구상했던 인사를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단지 자리 채우기는 인사를 한다면 소폭에 그치겠지만 전반적인 인사이동까지 고려한다면 중폭 이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그동안 본부에 대기 중인 고위공무원단이 있음에도 인사가 늦어졌던 이유를 감안하면 단지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인사가 아닐 수 있다”고 후속 인사가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신임 차관 임명을 계기로 고위직의 순차적이고 단계적인 인사이동이 있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관련기사

아울러, 본부 인사 결과에 따라 산하기관 및 협·단체 인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4개월 째 공백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 재공모가 진행 중에 있고, 이동전화 번호이동센터와 단말기유통법 위탁업무를 대행하는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의 상근부회장직 역시 임기가 완료됐거나 연말로 종료되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주무부처의 인사 시점과 산하기관이나 협·단체장의 임기 만료가 유사한 시점에 있어 인사 결과에 따라 이들 중 공모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