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電, 상반기 매출 사상 처음 30조원 돌파

2Q 영업이익은 7710억…TV와 가전이 날개

디지털경제입력 :2018/07/26 15:57    수정: 2018/07/26 16:06

LG전자가 역대 상반기 기준 실적 신기록을 달성했다.TV와 생활가전 사업이 2분기에도 호실적을 견인하면서다.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했던 1분기처럼 어닝서프라이즈는 없었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해 선방했다는 평이다.

LG전자는 지난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7천710억원으로 전년 동기(6천641억원) 대비 16.1% 증가했다고 26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5조194억원으로 전년 동기 14조5천514억원보다 3.2% 늘었다.

올해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0조1천424억원, 영업이익 1조8천78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2%, 18.5% 증가했다. 역대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최고 수치다. 상반기 매출액이 30조원을 넘은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LG전자 트윈타워.

■TV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유지…가전 상반기 매출 10조 돌파

생활가전 사업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는 매출액 5조2천581억원, 영업이익 4천572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액은 역대 분기 기준 최고다. 국내시장에서 에어컨 성수기 진입과 건조기,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등 신성장 제품의 판매가 늘며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다. 올 상반기 매출액은 처음 10조 원을 돌파했고, 영업이익률은 9.9%다.

영업이익은 원자재 가격, 환율 등의 영향에도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와 원가 절감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7% 늘었다.

TV 사업을 맡고 있는 HE사업본부는 매출액 3조8천222억원, 영업이익 4천7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신제품 출시와 더불어 올레드 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4.1% 늘었다.

영업이익은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와 원가구조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1% 증가했다. HE사업본부는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이어갔다.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12.4%로 두 자릿수는 이번이 처음이다.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MC사업본부는 매출액 2조723억원, 영업손실 1천85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둔화와 중남미 시장의 중저가 스마트폰 판매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줄었다.

스마트폰 매출이 줄어들고, 전략 스마트폰 출시에 따른 마케팅 비용이 늘면서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모델들이 LG 시그니처 올레드 TV W의 갤러리 앱에서 트립어드바이저가 추천하는 여름 여행지 사진을 보고 있다.(사진=LG전자)

자동차부품 담당 VC사업본부는 매출액 8천728억원, 영업손실 32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신규 프로젝트가 양산에 돌입하며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 메모리 등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자원 투입의 증가로 영업손실이 이어졌다.

기업간거래(B2B)사업본부는 매출액 5천885억 원, 영업이익 39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대형 디지털 사이니지와 고효율 태양광 모듈의 판매가 늘며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와 원가경쟁력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3% 늘었다.

■3분기 가전↑ TV↓…폰·자동차부품 사업도 만만치 않아

생활가전 시장은 한국에서 건조기, 스타일러 등 신성장 제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유럽, 중남미, 아시아 등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 H&A사업본부는 초프리미엄 ‘LG 시그니처(LG SIGNATURE)’를 앞세워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매출 확대와 원가구조 개선 등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이어갈 계획이다.

TV 시장은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경기 침체로 수요 약세가 예상된다. HE사업본부는 올레드 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를 확대하고 원가 경쟁력을 높여 수익구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스마트폰 시장은 성장 정체와 경쟁 제품의 출시로 프리미엄 시장에서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MC사업본부는 사업구조 개선을 지속하며 ‘LG G7씽큐’, ‘LG V35씽큐’ 등 프리미엄 신모델의 판매 확대에 주력한다.

관련기사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경우 미국의 통상 정책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VC사업본부는 대외 환경변화에 예의주시하며 안정적인 제품 공급에 집중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프리미엄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겠지만, 태양광 모듈 시장은 일부 국가의 보조금 지원 정책 및 관세 정책으로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B2B사업본부는 올레드 패널을 적용한 디지털 사이니지로 프리미엄 수요에 적극 대응할 예정이며, 태양광 사업에서 신흥시장을 개척해 수익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