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LGD 광저우공장 승인…OLED 전환 가속

5조원 투입·내년 하반기 가동…대형TV패널 생산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8/07/10 17:46    수정: 2018/07/11 15:03

중국 정부가 LG디스플레이 광저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합작법인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이 회사의 OLED로의 사업구조 전환이 빨라지게 됐다.

총 5조원이 투자되는 광저우 공장에선 대형 TV용 패널이 주로 생산된다.

이 공장은 올해 하반기 중 착공돼 내년 하반기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LG디스플레이는 10일 중국 국가시장 감독관리총국으로부터 광저우 OLED 합작법인에 대한 '경영자 집중신고 비준서'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 광저우 OLED 공장 조감도. (사진=LG디스플레이)

광저우 OLED 법인은 LG디스플레이와 광저우시 개발기구가 각각 70:30의 비율로 투자한 합작사다. 자본금 2조6천억원을 비롯해 총 투자 규모는 약 5조원이다.

광저우 공장은 8.5세대(2,200 x 2,500) OLED 패널 생산공장으로 건설돼 내년 하반기 중 양산에 돌입한다.

이 공장이 완공되면 LG디스플레이는 유리원판 투입 기준으로 월 6만 장 생산능력(CAPA)을 갖추고, 향후 최대 월 9만 장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또 현재 경기도 파주 E3·E4 공장에서 월 7만 장 규모로 생산되는 CAPA를 더하면 내년 하반기엔 총 월 13만 장의 CAPA를 달성해 55인치 기준으로 연간 1천만 대 출하도 가능할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가 생산한 TV용 대형 OLED 패널. (사진=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현재 유일하게 OLED TV 패널을 생산하고 있다. OLED의 기술 진입장벽이 높아 한국을 제외한 다른 업체들이 양산단계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이 회사는 OLED의 기술적 장점과 혁신적 디자인 가능성을 토대로 OLED를 통해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의 판도를 바꿔나간다는 전략이다.

광저우 OLED 공장이 내년 하반기부터 가동되면 급증하고 있는 대형 OLED 패널 수요에 대응하기 수월해질 것으로 LG디스플레이는 내다봤다.

글로벌 OLED TV 판매량 추이. (자료=IHS마킷)

OLED 수요가 급증하는 이유는 글로벌 TV 업체들이 OLED 진영에 속속 합류하고 있어서다. 지난 2013년 LG전자를 시작으로 ▲중국 스카이워스·콩카·창홍 ▲일본 소니·도시바·파나소닉 ▲유럽 필립스·그룬딕·뢰베·메츠·베스텔· 뱅앤올룹슨 등 다수 업체가 OLED TV를 생산 중이다. 중국 TV업체 하이센스도 올해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이 예상한 내년 글로벌 시장 OLED TV 판매량은 400만 대 규모다. 이후 OLED TV 시장은 계속 성장을 거듭해 2020년 800만 대, 2021년엔 1천만 대에 육박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특히, 중국은 글로벌 시장에서 유일하게 OLED TV 증가 속도가 100% 넘는 시장인 만큼, LG디스플레이가 현지 공장 설립을 통해 얻는 이점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IHS마킷에 따르면 내년 2분기부터 중국 OLED TV 판매량이 고속 성장기에 접어들고, 3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