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中 화유코발트와 합작법인 설립

배터리 핵심 원재료 코발트 수급 체계 안정 구축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8/04/11 09:31

LG화학이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코발트의 안정적 수급 체계를 확보했다.

LG화학은 중국 화유코발트(Huayou Cobalt)와 전구체·양극재 합작 생산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중국 저장성에 본사를 둔 화유코발트는 지난해 정련 코발트 2만톤을 생산한 세계 1위 코발트 정련 업체다.

이번 계약에 따라 LG화학은 오는 2020년까지 총 2천394억원을 출자해 화유코발트와 전구체·양극재 합작 생산법인을 각각 설립하고, 운영에도 참여하게 된다.

전구체 합작 생산법인은 중국 저장성(浙江省) 취저우시(衢州市)에 설립되며, LG화학은 833억원을 출자해 지분 49%를 확보한다.

또 양극재 합작 생산법인은 중국 장수성(江?省) 우시시(无?市)에 설립되며, LG화학은 1천561억원을 출자해 51%의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

LG화학이 중국 화유코발트와 전구체·양극재 합작 생산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 (자료=LG화학)

화유코발트는 LG화학에 코발트 등 원재료에 대한 공급을 보장하기로 했고, LG화학은 합작법인에서 생산되는 제품 또한 우선 공급받기로 했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화유코발트(코발트 등 원재료) → 합작 생산법인(전구체·양극재) → LG화학(배터리)으로 이어지는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양사의 전구체·양극재 공장의 생산 능력은 각각 연간 4만톤 규모다. 생산 개시 시점은 오는 2020년이다. 4만톤 규모는 고성능 전기차(한 번 충전으로 320km이상 주행 가능) 기준 약 40만대의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는 분량이다. 양사는 향후 수요 증가 시 10만톤까지 증설할 계획이다.

LG화학은 해당 공장에서 생산되는 전구체와 양극재를 중국 남경 배터리 공장(소형·전기차·ESS용 배터리 생산)과 유럽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에서 사용할 계획이다.

박진수 LG화학 부회장은 "이번 합작법인 설립으로 핵심 원재료에서 배터리까지 이어지는 강력한 수직 계열 체계를 구축하고, 원가 경쟁력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최고의 품질을 갖춘 배터리를 고객들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LG화학은 배터리 원재료의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갖추기 위해 그간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 회사는 지난 2016년 9월 GS이엠의 양극재 사업을 인수해 양극재 생산기술 고도화 및 전구체 제조기술력을 확보했다.

또 LG화학은 지난해 11월엔 황산니켈 생산업체인 켐코(고려아연 자회사)의 지분을 10% 확보해 올해 중반부터 황산니켈을 우선 공급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