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로봇산업 기업 대다수가 영세한데다 기술력 부족으로 성장이 더디다는 자가 진단이 나왔다. 또한 대한민국이 로봇 강국이 되려면 정부의 체계적인 진흥 정책과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산학연 업계가 인식을 같이했다. 기업과 학계도 기술을 공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로봇랜드를 조성하고 공동 연구를 진행하며 힘을 모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판교미래포럼, 세종과학포럼은 26일 성남시 분당구 스타트업캠퍼스에서 ‘4차 산업혁명과 미래한국’ 포럼을 열고 이같은 로봇산업 발전 방향에 대해 머리를 맞댔다.
이날 포럼은 국내 로봇산업정책의 전반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한화테크윈, 퓨처로봇, 한국로봇학회, 한국과학기술원(KAIST), 4차산업혁명위원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로봇신문 등 산업부터 학계, 정부, 언론 등 로봇 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문전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은 해외 국가들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로봇산업을 진흥하고 있지만 국내는 예산 규모도 적은데다 기업들도 중소 규모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 원장은 “미국은 국가로봇계획(NRI)을 추진 중이며 관련 예산은 2014년 3천800만 달러(약 410억원)에서 2017년 2억2천100만 달러(약 2천386억원)로 늘었다. 일본은 로봇신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예산은 2015년 160억2천만 엔(약 1천644억원)에서 2017년 414억4천만 엔(약 4천254억원)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엔 글로벌 로봇기업이 없다. 97%가 중소기업이며 매출 100억원 미만이 95%”라고 덧붙였다.
조규남 로봇신문 사장도 “국내 로봇기업들은 한 해 매출이 20억~30억원으로 매우 영세하다보니 새로운 서비스나 기술 등 분야에 투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문 원장은 국내 로봇산업이 제대로 성장하려면 우선 로봇 부품부터 시스템 기업까지 일관성 있게 정책적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회에 계류 중인 ‘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지능형로봇법)’이 통과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송세경 퓨처로봇 대표 역시 체계적인 로봇산업 컨트롤 타워와 로봇 진흥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송 대표는 “분산된 조직으론 4차 산업혁명 시대 동력을 확보하지 못 한다”며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지능형 로봇산업발전 특별위원회를 만들고 산학연, 정부, 정당 인사들이 참여해 로봇특별법이나 로봇기본법 입법화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계에선 기업도 로보틱스를 연구하는 대학교, 연구소들과 협력하며 자사 기술력 강화는 물론 국내 로봇산업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최혁렬 한국로봇학회 회장은 “대학원만 봐도 로봇을 연구한 학생들이 많지만 막상 졸업하면 일자리가 없어서 자동차나 전자산업으로 빠진다”며 “대학에는 좋은 인력 자원과 꾸준히 쌓아온 연구 자료다 있다. 기업이 대학과 함께 연구한다면 기술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송 대표도 “국내 로봇업체들은 꼭 자기 회사가 아니더라도 성공 사례가 나오길 바랄 만큼 (국내 로봇산업 발전이) 간절하다”며 “국내 로봇기업과 업계, 정부 등 모두가 뭉쳐야 로봇산업이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사업자들도 협력해 로봇랜드를 조성하거나 전자제품 전문 매장에 로봇상품을 공급하며 개인 로봇시장을 열어야 한다”며 “로봇 프랜차이즈 사업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정치권 인사는 업계 요구대로 예산 제약 문제를 고민하고 정책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김봉진 “배민로봇이 일자리 뺏는다고요?”2018.03.27
- 델타항공사, 직원용 웨어러블 로봇 도입 검토2018.03.27
- MIT, 바닷속 탐험하는 로봇 물고기 공개2018.03.27
- 유니버설로봇, '협동로봇' 생태계 확대에 총력전2018.03.27
고진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은 “그간 로봇과 관련된 구체적 연구는 못 했지만 오는 4월부터 관련 연구개발 용역에 처음으로 예산을 배정받아 로봇산업 발전 방향 연구 과제를 10여개 정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공 로봇 분야에서 앞서나간다는 일본도 사실 정부보다는 민간보험사와 사업자들이 산업이나 시장을 키워가고 있다”며 “물론 시장 기반이나 활성화 물꼬는 정부가 열어야 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