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진 부회장 "금성사 60돌, 새 LG로 거듭날 것"

"수익-성장-시장지배력, 선순환 구조 구축에 매진"

홈&모바일입력 :2018/01/11 10:00

"올해는 금성사부터 시작해서 사업한지 60년째가 됩니다. 올해 다시 LG전자가 도전을 통해 생활에 변화를 이끄는 창업 정신을 되새겨 틀을 깨고 새로운 LG로 도약하는 해를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조성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부회장이 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전시회 'CEC 2018'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사업 60주년에 대한 소회를 밝히며 '수익-성장-시장지배력'으로 이어지는 강력한 선순환 구조 구축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 부회장은 “지난해에는 수익에 기반한 건전한 성장을 가속화하는 한편, 미래 사업도 착실히 준비했다”며 “연구개발(R&D)과 제조에서의 혁신을 위해 가전에서 성과를 거둔 모듈러 디자인, 플랫폼 효율화 등을 다른 사업에 확대했고,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 등 미래 사업을 위한 조직도 구축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수익성 기반의 성장(Profitable Growth)을 지속하고 ▲B2B 사업을 주력 사업 수준으로 육성하는 한편 ▲프리미엄 시장에서 지배력의 근간이 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CES 2018 LG전자 CEO 간담회.(사진=LG전자)

LG전자는 수익성 기반의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초프리미엄 브랜드 ‘LG시그니처’ 등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는 한편,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한 융복합 제품들을 지속 선보일 계획이다.

LG전자는 B2B 사업을 성장의 큰 축으로 삼고 주력 사업으로 육성한다. LG전자는 지난해 말 조직개편을 통해 신설한 B2B사업본부를 고객 밀착형 조직으로 전진 배치해 수주 기회를 대폭 늘릴 계획이다. 프리미엄 시장 지배력도 높인다. 조 부회장은 "변화를 제대로 읽어내고 근본적인 사업 방식을 바꾸면서 LG만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픈 이노베이션…R&D-제조혁신 접목"

조 부회장은 올해 ▲사업구조 고도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미래 기술과 외부와의 협력을 통한 융복합 시대 선도 ▲ 도전적이면서 젊고 생기 넘치는 조직문화 구축 등 3대 중점과제도 추진한다.

조성진 LG전자 최고경영자(CEO).(사진=LG전자)

LG전자는 사업구조 고도화를 위해 B2C 사업은 프리미엄 브랜드를 육성하는데 집중하고, B2B 사업도 최적화 솔루션을 찾는다. 전체 사업 영역에 플랫폼 효율화, 모듈러 디자인·부품 공용화·표준화 등 R&D혁신과 제조혁신을 접목해 제품 경쟁력도 지속 강화한다. 부품과 솔루션을 묶어 표준화된 모듈로 설계하고, 원하는 모듈들을 레고 블록처럼 연결해 필요한 제품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생산할 수 있다.

LG전자는 1958년 창사 이래 60년 동안 가전 사업을 하면서 고객을 이해하는 데 많은 투자를 해왔다.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같은 미래 기술들을 사업 전반에 접목해 차별화된 가치를 줄 수 있는 인공지능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독자적인 기술 개발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을 지속해 융복합 시대를 선도한다.

■인공지능-로봇 등 미래 사업 역량 강화

LG전자는 최근 공개한 인공지능 브랜드 ‘씽큐(ThinQ)’를 통해 인공지능 분야 선도기업 이미지를 강화한다. 씽큐는 다양한 외부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LG전자의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된다. 오픈 플랫폼, 오픈 파트너십, 오픈 커넥티비티 등 3대 개방형 전략을 추진해 강력한 솔루션을 갖춘 생태계를 구축한다.

로봇 사업도 미래 사업의 한 축이다. LG전자는 지난해 인천국제공항과 스타필드 하남에서 로봇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이번 CES에서는 호텔서비스 로봇, 카트 로봇 등 다양한 로봇을 선보이는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르면 올해 상반기에 가정용 허브(Hub) 로봇도 출시하는 등 가정용과 상업용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계획이다.

CES 2018 ‘LG 씽큐 존’.(사진=LG전자)

지난 달 LG전자는 미래 사업 선도를 위해 CEO 직속으로 융복합사업개발센터도 신설했다. 융복합사업개발센터는 스마트폰, TV, 자동차 부품 등 각 사업본부의 제품을 연결하는 한편, 인공지능, IoT(Internet of Things) 등을 기반으로 전사 차원에서 융복합을 추진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역할을 맡았다.

■"지난해 B2B 매출 20% 첫 돌파...지속 확대할 것"

LG전자는 자동차 부품, 디지털 사이니지, 상업용 에어컨, 태양광 모듈 등 B2B 사업을 적극 육성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끊임없이 다각화할 계획이다. B2B 매출은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매출 가운데 처음으로 20%를 넘어섰으며 사업 역량을 강화해 매출 비중을 지속 늘려나갈 계획이다.

LG전자는 자동차 부품 분야에서 완성차 업체를 포함한 거래선이 전략을 수립하는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해 수익성이 높은 프로젝트 중심으로 수주를 확대하는 한편, 자율주행 등 미래 자동차 기술을 선제적으로 준비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LGD 롤러블 디스플레이.(사진=지디넷코리아)

중장기 성장 동력인 상업용 디스플레이 분야는 항공용 디스플레이, 의료용 모니터 등으로 확대한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올레드 제품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한다. 상업용 에어컨 분야에서는 북미, 유럽, 아시아 등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 또 빌트인 분야는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와 LG 스튜디오 등 프리미엄 브랜드를 앞세워 성장을 가속화한다.

조 부회장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외부와의 협력을 통한 융복합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조직을 많이 보강했다"며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젊고 생기있는 조직문화를 만드는 데 집중할 생각"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