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DB 품은 데비안9 '스트레치' 정식판 공개

리눅스커널 4.9 버전, EXT4 파일시스템 사용

컴퓨팅입력 :2017/06/21 09:04

데비안 9 스트레치(stretch) 정식판이 공개됐다. 리눅스커널 4.9 버전과 EXT4 파일시스템을 채택한 리눅스다. 내장 데이터베이스가 마이SQL에서 마리아DB로 바뀌었다.

데비안리눅스는 1993년부터 개발된 자유소프트웨어 커뮤니티의 주요 리눅스 배포판이다. 리눅스 서버 관리자, 데스크톱 이용자들에게 모두 인기다. 리눅스 전문업체 캐노니컬의 우분투가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이다. 인텔 자회사 윈드리버의 임베디드 리눅스도 데비안을 쓴다.

데비안리눅스 로고 데비안

데비안9 스트레치 버전은 지난 18일 배포됐다. 커뮤니티가 시작된지 14년만이다. 뭐가 달라졌을까. 미국 지디넷이 19일(현지시간) 보도한 일반 사용자와 개발자 및 서버 관리자를 위한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그래픽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놈(GNOME) 셸 3.22 버전이 기본 환경으로 적용됐다. 셸은 X.org 서버 1.19.2와 메사3D 그래픽라이브러리 13.0.6 버전 기반으로 개발됐다. 이제 X윈도 구동시 루트권한을 요구하지 않아 더 나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모질라의 파이어폭스와 썬더버드가 기본 탑재됐다. 데비안의 오리지널 브라우저였던 아이스위즐(Iceweasel)과 메일 프로그램 아이스도브(Icedove)를 대신하게 됐다.

개발자에겐 GCC 6.3.0 버전을 내장 개발툴로 제공한다. dbg-sym이라는 APT 저장소를 사용해 여러 패키지의 디버그 심볼을 자동으로 가져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마이SQL(MySQL) 대신 마리아DB(MariaDB)로 바꿨다. 구버전 데비안을 쓸 때 마이SQL 5.5나 5.6 버전은 자동으로 마리아DB 10.1버전으로 대체된다. 애플리케이션을 새 DBMS로 전환시 생길 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가이드도 마련됐다.

로저 보다머 마리아DB 최고제품책임자는 "마리아DB 개발팀은 데비안커뮤니티와 긴밀히 협업해 마이SQL에서 마리아DB로 매끄럽게 전환할 수 있게 만들었다"며 "마이SQL 대신 마리아DB를 채택한 데비안의 결정으로 6천만 개발자에 달하는 우리의 글로벌 커뮤니티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데비안 기반으로 운영되는 웹사이트가 310만곳에 달하는데 그 대부분은 리눅스, 아파치 마이SQL, 펄/PHP/파이썬으로 구축된 일명 램프(LAMP) 스택 환경이다. 이들이 새로운 데비안 리눅스 배포판으로 업그레이드한다면 이 웹사이트의 DBMS는 마이SQL에서 마리아DB로 갈아타는 셈이 된다.

미국 지디넷에 따르면 새 데비안 배포판이 UEFI를 지원한다. 32비트 UEFI 펌웨어 환경에서 64비트 커널을 설치할 수 있다. 더불어 마침내 데비안 라이브이미지에 UEFI 부팅 지원 기능이 포함됐다.

데비안은 종전대로 여러 자유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본 지원한다. 5만1천개 프로그램의 새 버전이 제공된다. 하드웨어 아키텍처 지원 대상은 인텔EM64T/x86-64(amd64) 기반 64비트 컴퓨터, 인텔IA-32(i386)기반 32비트 컴퓨터, 64비트 리틀엔디언 모토로라/IBM 파워PC(ppc64el), 64비트 IBM S/390(s390x), 기존 및 최신 32비트 ARM 하드웨어와 AArch64 기반 64비트 ARM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MIPS 아키텍처 중 기존 32비트 MIPS에 더해 64비트 리틀엔디언(mips64el) 아키텍처 하드웨어도 지원된다. 기존 32비트 모토로라/IBM 파워PC(powerpc) 지원은 제거됐다.

관련기사

데비안 배포판을 써보려면 비트토렌트를 통해 설치 이미지를 내려받는 방법이 권장된다. 직도(jigdo)나 HTTP 방식으로도 내려받을 수 있다. FTP 다운로드는 지원되지 않는다. 시스템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체험 환경을 구동하는 라이브이미지 기능이 제공된다.

이미 데비안 구버전 사용자라면 데비안8 제시(Jessie) 버전을 apt-get 패키지 관리툴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를 적용하기 전에 릴리즈 노트와 설치 가이드를 먼저 읽고 업그레이드에 따라 생길 수 있는 이슈에 대비하면서 설치 및 업그레이드 과정간 세부 지시에 따르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