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 데이터 저장 초박형 다층 필름 개발

싱가포르대학, 초집적 반도체 소재 스커미온 활용

과학입력 :2017/04/12 10:19    수정: 2017/04/12 10:22

싱가포르 국립대학(NUS) 연구진이 차세대 초집적 반도체 소재로 손꼽히는 ‘스커미온(Skyrmion)’을 활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초박형 다층 필름을 개발했다고 미국 IT매체 씨넷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진은 코발트와 팔라듐을 결합해 스커미온 소재로 아주 작은 크기의 필름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초집적 반도체 소재로 손꼽히는 ‘스커미온’을 활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초박형 다층 필름이 개발됐다. (사진=싱가포르 국립대학)

스커미온은 2009년 발견된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열된 스핀들의 구조체로, 위상학적 자성구조를 지녀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온도와 자기장, 전기장 등 외부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그 크기가 매우 작고, 이동 속도 또한 매우 빨라 초고밀도, 고속력 메모리 소자 개발이 가능하게 때문에 안정적인 메모리 단위로 주목되고 있다.

관련기사

싱가포르 국립대학연구진을 이끄는 양현수 부교수는 “스커미온은 외부 자기장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위상학적으로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마그네틱 메모리를 위한 셀 크기가 작아졌다.”고 씨넷 측에 말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콘텐츠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점점 더 많은 데이터 저장공간이 필요하게 됐다. 데이터의 양은 향후 10년간 1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소재가 본격 상용화되기까지는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향후 스커미온 소재가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씨넷은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