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미래창조과학부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2017년도 3D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신규 수요창출,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 등에 총 4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31일 발표했다.
정부는 3D프린팅 산업의 새로운 시장수요 창출을 위해 국방·재난 안전 등 공공분야에 대한 단종·조달 애로부품에 대한 3D프린팅 시범제작 및 현장적용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전국의 3D프린팅 인프라를 활용해 금속·바이오 제품, 초경량·고강도 탄소소재 제품, 생활 밀착형 제품 등 지역특화산업과 연계된 제작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진료과별 환자 특성에 맞춘 의료용 3D프린팅 치료물 제작 등 시장 확산을 위한 선도사업을 추진한다.
3D프린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의료·바이오분야 기술개발, 3D콘텐츠 모델링 및 해석SW 기술 등 고부가가치 핵심 SW개발, 지능형 소재개발 등 차세대 핵심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중대형 선박 부품, 자동차 내장재, 에너지 발전용 부품, 소형 건축물 등을 제작할 수 있는 3D프린팅 장비 개발을 지원한다.
아울러, 국제 표준화기구에 3D프린팅 표준화 분과를 설립하고, 보급형 3D프린터 유해물질 측정방법, 메디컬 3D프린팅 파일포맷 방식 등의 신규 표준을 제안하며, 3D프린팅의 용어, 범주 및 데이터 처리 등에 대한 국가기술 표준을 도입한다.
3D프린팅 산업 확산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3D프린팅 제조공정연구센터, 의료기기 제조모델 팩토리를 신규로 구축하고, 중소기업 생산기술 지원을 위한 제조혁신지원센터의 제작기반을 확충한다.
또한, 3D프린팅 기업역량 향상을 위해 경영, 마케팅 등 분야별 전문가 풀 구성을 통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지식재산권 교육 및 컨설팅을 통해 기업의 글로벌 분쟁 대응능력을 제고한다.
아울러, 3D프린팅 국가 기술자격 신설, 산업 분야별 재직자 인력 양성, 초중학교 현장 활용 수업모델 개발·보급 등을 통해 3D프린팅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현장 교육을 강화한다.
3D프린팅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해 3D프린팅 장비·소재 신뢰성 평가체계와 의료기기에 특화된 가이드라인 개발 등 3D프린팅 장비·소재·SW분야에 대한 품질인증 체계를 마련한다.
또한, 디지털적층성형기계(3D프린터) 품목을 신설한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 및 ‘한국표준산업분류(KSIC)’를 개정·시행하고 3D프린팅 R&D비용과 사업화 시설 투자금에 대한 세제지원을 확대한다.
관련기사
- “국내 산업용 3D프린팅 인재 시스템 도입 시급”2017.04.02
- 네이버랩스, 3D 기술기업 ‘에피폴라’ 인수2017.04.02
- 4차산업혁명…왜 3D 프린터가 주목받나2017.04.02
- 산업용 3D 프린터, 어디에 어떻게 쓸까요2017.04.02
아울러, 안전한 3D프린팅 이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3D프린팅서비스사업자의 표준약관을 제정·시행하고 산업안전교육 실시기관(안전보건협회, 표준협회)에 의한 안전교육 실시, 서비스 사업자 신고 제도를 운영한다.
3D프린팅산업 시행계획 등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미래부 등 관계기관 홈페이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홈페이지, 3D상상포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