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생태계 발전 위해 정부 리더십 필요"

미래부, MWC 참가했던 전문가들과 ICT 정책 논의

방송/통신입력 :2017/03/14 16:50

모바일 신제품 출시 수준을 넘어서 ICT 생태계 전체를 아우르는 전시회로 변모한 MWC 2017이 끝난 후, 정부가 ICT 정책 현황을 점검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정부가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ICT 패권국 자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4일 최재유 차관 주재로 지난달 27일부터 3월 2일까지 열린 MWC 2017 간담회를 개최하고 ICT 생태계 발전을 위한 민관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주제 발표를 한 이재학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이동통신 CP는 “MWC 2017 트렌드를 진단해보면, 5G·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등 핵심 기술의 발전과 가격 경쟁력 확보로 지능정보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제품 서비스 개발 단계로 진일보”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CP는 "ICT와의 융합 확산으로 기술·산업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파괴적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ICT 산업의 앞선 혁신을 바탕으로 타 산업과의 융합이 보다 확산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토론 자리에서 최영익 KT CR지원실 실장은 "KT는 이번 전시회에서 5G와 평창동계올림픽을 알리는데 주력했다"며 "전시회에 참여해 보니 4차산업혁명 시대가 생각보다 빨리 온것 같다"고 말했다.

최 실장은 "여러 기업들이 5G 주도권을 잡기 위해 굉장히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데, 여기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 법제도나 규제 완화 등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그는 "앞으로 정부가 4차산업혁명 시대에 리더십을 갖고 ICT 산업을 이끌어가 세계 1위 ICT 패권국을 유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원필 한글과 컴퓨터 대표는 MWC에서 정부 지원 받은 기업들의 부스가 흩어져 있어 홍보가 잘 안됐던 부분을 아쉬워했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의 좋은 ICT 기술을 홍보할 수 있도록 홍보 방법을 통일됐으면 좋겠다"며 "내년에는 반드시 지원 받은 한국 기업들의 부스가 통일 돼 ICT 기술을 전세계가 공유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박명순 SK텔레콤 미래기술원 원장은 "많은 중소기업이 글로벌로 진출할 수 있게 정부가 오케스트라 지휘자 같은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재유 차관은 "기업도 키플레이어로서 노력을 많이 하고 전문 인력을 채용해야 한다"며 "ICT 혁신은 계속돼야 하고, 정부는 이를 위해 체계적인 지원 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대답했다.

장석영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규제혁신이나 규제완화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가 시장에 나왔을 때, 신속한 시장 진입을 위해 ICT 융합 특별법이 운영돼고 있다"며 "특별법이 개정되면, 신기술 확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