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작년 영업익 7천465억원…18.1%↑

당기순익 4927억…배당금 350원으로 상향

방송/통신입력 :2017/02/02 08:28    수정: 2017/02/02 11:58

LG유플러스는 지난해 단말 매출을 제외한 매출 9조275억원에 영업이익 7천465억원을 기록했다고 2일 공시했다.

이는 각각 전년 대비 4.3%, 18.1% 증가한 수치다.

총 매출은 11조4천510억원으로 전년 대비 6.1%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영업외수지 개선 등으로 전년 대비 40.3% 증가한 4천927억 원을 달성해 주당 배당금을 작년 250원에서 올해 350원으로 상향하기로 이사회에서 의결했다.

사업 부문 별로 보면 무선 분야 매출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5조4천320억원을 기록했다.

LTE 가입자와 MNO 순증 가입자 비중 증가에 따른 결과다.

2015년 LTE 가입자는 전체 무선가입자의 83%인 988만명이었으나, 2016년에는 전체 무선가입자 중 88%인 1천97만명을 달성했다. 또한 전체 순증 가입자 중 MNO 순증 가입자 비중은 전년 대비 10.1% 포인트 증가한 94%를 기록했다.

무선 매출 증가와 함께 유선 매출 역시 TPS 사업과 데이터 사업의 수익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7.9% 상승한 3조5천655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IPTV 가입자가 작년 대비 12.2% 증가한 256만명을 기록한 데 힘입어, 유선수익 중 TPS 수익은 전년 대비 9.8% 증가한 1조5천847억 원을 기록했다.

유선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데이터수익은 e-Biz, IDC 수익 증가 영향 등으로 전년 대비 10.5% 성장한 1조5천979억 원을 기록하며, TPS 사업과 함께 유선 사업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유선 사업부문의 주요 성장요인으로 꼽히는 IPTV 사업 수익 증가는 인기 콘텐츠 수급, 유튜브 채널 서비스 출시 등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력이 가입자 확보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2016년 마케팅 비용은 지속적인 시장 안정화로 전년 대비 2.4% 감소한 1조9천515억 원을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멤버십 혜택 강화 등 고객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본원적 가치에 집중해 마케팅 비용을 효율화해 나갈 방침이다.

관련기사

2016년 연간 투자지출(CAPEX)은 효율적인 네트워크 투자로 1조2천558억 원이 집행됐다.

이혁주 LG유플러스 부사장은 “올해는 고객 케어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신사업 분야에서도 미래를 위한 준비를 착실히 해 나갈 것”이라며 “경영목표 달성을 통한 이익 증대로 재무구조 개선과 주주가치 제고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