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삼성 갤노트7 발표 대체로 수긍…"관건은 재발 방지"

"재발 방지 대책에 가속스트레스테스트 포함해야" 지적도

홈&모바일입력 :2017/01/23 17:43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으로 배터리를 최종 지목한 가운데, 업계 전문가들은 조사 결과에 대체로 수긍하는 분위기다. 특히 삼성전자가 자체 조사와 병행해 미국 UL과 엑스포넌트, 독일 TUV라인란드 등 여러 시험안전 인증기관을 통해서도 독립적인 조사를 진행하면서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였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다만 이번 사태가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양산 과정에서 배터리나 부품에 대한 충분한 테스트를 거쳤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사고였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표시하면서 향후 재발방지를 위해 삼성전자가 사전 테스트에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들을 능가하는 수준의 투자를 해야한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했다.

삼성전자는 23일 서울 서초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갤럭시노트7의 발화의 원인을 배터리 결함으로 최종 결론지었다.

그동안 업계에서 지적되던 설계나 소프트웨어 등의 문제는 없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날 삼성전자의 조사 결과 발표에 전반적으로 수긍하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이날 UL, 엑스포넌트, TUV라인란드 등 해외 시험인증기관 임원진들이 참석해 제품 설계 문제나 소프트웨어가 아닌 배터리 결함 때문에 제품 발화가 일어났다는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해 삼성전자 원인 분석에 힘을 실어주면서 신뢰도를 높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정구민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는 "삼성전자가 배터리 부분에 문제가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상당시간 해외 시험인증기관 3곳의 발표에 투자했다"며 "이에 대해 외부 전문가들이 쉽게 반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유신재 SNE리서치 상무도 “삼성전자가 배터리 관련 외부 반발을 줄이기 위해 외부 연구기관 3사를 직접 초청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가 23일 공식 기자회견을 열고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을 발표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전문가들은 그러나 삼성전자가 양산 단계에서 부품에 대한 더 철저한 테스트를 했으면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표시하기도 했다.

2차전지 전문가인 박철완 박사는 “삼성전자는 배터리 문제 시 원인 규명을 하지 않더라도 스펙 및 최적화 체크 등을 통해 자체적인 제조 과정을 개선시켰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삼성전자가 재발방지 대책으로 내놓은 8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도 더 보강할 부분이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삼성전자는 이날 발화 원인 분석과 함께 향후 스마트폰 제조 과정 개선과 배터리 안전 확보를 위해 ‘8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검사는 ▲안전성 검사 ▲배터리 외관 검사 ▲X-레이 검사 ▲배터리 해체 검사 ▲TVOC 검사 ▲OCV 측정 검사 ▲충방전 검사 ▲사용자 조건 가속 시험 검사로 나눠진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박철완 박사는 "스마트폰 양산 전 진행할 수 있는 가속 스트레스 테스트 관련 장치에 삼성전자가 적극적으로 투자한다는 방침이 포함됐어야 한다”며 "경쟁사인 애플의 경우 가속 스트레스 테스트 과정을 충분히 거치고 있다"고 말했다.

가속 스트레스 테스트는 스마트폰 등 특정 품목에 대해 스트레스를 줘 이에 대한 약점이 발견될 경우, 업체 스스로 해결해나가야 하는 과정을 뜻한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사진=씨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