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10명 중 5명 고정금리 선호

이용금액 1억1373만원…약정은 30년 만기 가장 많아

금융입력 :2017/01/11 11:45

송주영 기자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의향이 있는 10명 가운데 5명은 고정금리 대출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택구입시 평균 1억1천373만원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았으며, 30년 만기 대출을 이용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다. 아울러 4가구 중 3가구는 앞으로 주택을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금융공사(HF, 사장 김재천) 주택금융연구원은 국민의 주택금융 이용실태와 보금자리론 및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수요행태 파악을 위해 ‘2016년도 주택금융 및 보금자리론 수요실태 조사’를 전문조사기관과 함께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조사는 지난해 8월 8일부터 9월 30일까지 일반가구(전국 만 20~59세의 가구주) 5천가구와 보금자리론을 이용하는 2천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고정금리>변동금리>혼합형금리 순 선호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할 의향이 있는 1천935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정금리(50.4%) ▲변동금리(26.0%) ▲혼합형금리(23.6%) 순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할 것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고정금리 이용의향 가구는 ‘향후 시장금리 상승시에도 대출금리가 유지되기 때문에’(59.3%), ‘대출금리 변동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21.8%) 등을 선택 이유로 꼽아 금리상승에 대한 우려가 주 요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보금자리론 또는 내집마련 디딤돌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2천가구 중 84.3%가 대출상품 선택시 금리 수준을 고려했다고 응답했다. 보금자리론 이용가구의 경우 시중금리가 상승해도 이자부담이 늘지 않는다는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았다.

■주택담보대출 금액 평균 1억1천373만원

주택담보대출 이용가구의 평균 주택담보대출 금액은 1억1천373만원이었다. 또 보금자리론의 평균 대출금액은 1억522만원,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이용가구의 평균 대출금액은 1억120만원으로 조사됐다.

(자료=주택금융연구원)

아울러 이들이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할 때 설정한 약정만기는 30년이 23.1%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20년(20.6%) ▲10년(17.0%)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이용가구의 월평균 상환금액은 60만원이며 주택담보대출 이용 가구의 41.5%가 월 상환금액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주택가격 상승 예상 35.5%

일반가구 5천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년 후 주택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35.5%로 ‘하락할 것’(26.6%)이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아울러 ‘3~5년 후 주택가격 하락 전망’ 비율은 38.5%로 조사됐다.

주택구입을 원하는 가구들은 평균 3억876만원, 서울의 경우 4억4천680만원에 주택 매입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이며 가구주의 연령이 높을수록 구입의향 주택가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주택금융연구원)

이들은 아파트 신규청약(42.3%)을 통해 주택구입을 원했으며 ▲기존 아파트 구입(35.1%) ▲보금자리주택 신규청약(10.2%)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나타냈다.

■전세자금 대출 평균 6,735만원

이번 조사에서 전세자금 대출의 평균 이용금액은 6천735만원으로 나타났다. 1억원이상 대출받은 가구 비율도 26.5%에 달했다.

또 전세 거주 가구의 주택구입 의향은 전세가가 매매가 대비 70~80%일 때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계약을 유지할 의향이 있는 전세가구 중 52.4%는 전세보증금 인상률이 10% 이하일 경우 인상된 전세금을 수용할 수 있으나, 10%를 초과할 경우 수용의사는 15.9%로 급격히 낮아졌다.

(자료=주택금융연구원)

다만, 서울 및 경기지역 거주 가구이거나 전세보증금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전세보증금 인상폭을 수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보증금은 평균 1억5천114만원이었으며 보증부 월세 거주가구의 임차보증금은 평균 3천574만원, 월세는 평균 39만원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한편 일반가구 5천 가구 중 앞으로 주택을 구입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가구는 3천769가구로 전체의 75.4%를 차지했다.

또 주택을 구입할 의향이 있는 가구 중 절반 이상(53.9%)이 앞으로 3년 이내에 주택을 구입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아울러 무주택가구의 3년 이내 주택구입 의향은 49.7%로 전년대비 3.4%포인트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