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신용위험 평가결과 176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는 과거 3년 평균치인 137개사 대비 28.5%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176개사와 비교하면 1개사 늘었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 수가 늘어난 것은 국내 경기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금융권이 선제적, 적극적 구조조정 추진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엄정한 평가를 실시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미만 기업(이하 중소기업)에 2천35개사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완료해 176개사를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중 부실징후기업에 해당하며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기업으로 평가받은 C등급은 71개사,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기업으로 평가받은 D등급은 105개사다.
당초 구조조정대상으로 선정, 통보한 기업은 177개사였지만 6개사가 평가 등급에 이의를 제기했고 재심사 결과 이중 2건을 수용했다. 1개사는 C등급에서 B등급으로, 1개사는 D등급에서 C등급으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품제조업(22개사), 전자부품제조업(20개사), 기계장비제조업(19개사), 고무·플라스틱제조업(14개사) 등의 순이었다. 조선·건설·석유화학·철강·해운 등 5대 경기민감업종 기업은 26개사로 전체 구조조정대상 기업의 14.8%를 차지했다.
비제조업은 경기침체에 따른 내수부진 등으로 유통업 8개사, 부동산업 7개사, 스포츠서비스업 5개사 등이 선정됐다. 회원제 골프장 4개사도 포함됐다.
9월말 현재 구조조정대상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1조9천720억원으로 지난해 2조2천204억원 대비 다소 감소했다. 금융권역별로는 은행권이 대부분으로 1조8천억원, 88.6%를 차지했다.
금감원은 워크아웃,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추진에 따른 자산건전성 재분류 시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적립 예상액은 약 3천200억원으로 은행권 손실흡수 여력을 감안할 경우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은 지난 6월말 현재 14.3%로 0.02% 하락해 14.28%로 낮아질 전망이다.
금감원은 평가결과 C등급 기업의 경우 워크아웃 등을 통한 신속한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고, D등급 기업은 회생절차 등을 통해 부실을 정리토록 유도할 계획이다.
채권은행이 구조조정대상(C·D등급)으로 통보했으나 워크아웃 또는 회생절차를 신청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등 사후관리를 강화토록 지도할 예정이다.
또 기업이 정당한 사유 없이 구조조정 지연 시 주채권은행은 필요한 조치(신규여신 중단, 만기 시 여신회수, 여신한도 및 금리변경 등)를 강구할 방침이다.
더불어 채권은행의 신용위험평가 및 사후관리 등의 적정성에 대해 12월 중 외부전문기관(신용평가사)과 공동으로 현장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 인텔, 고강도 구조조정...데이터센터-IoT에 집중2016.12.06
- 한국HP "당장 구조조정 계획 없다"2016.12.06
- 에버노트, 또 구조조정...위기론 솔솔2016.12.06
- 삼성전기, ESL 등 모듈 사업 분사...구조조정 완료2016.12.06
아울러 구조조정 추진 과정에서 협력업체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워크아웃 기업의 협력업체에 대한 B2B대출 상환유예를 독려하는 한편 ‘중소기업 금융애로 상담센터(금감원)’를 통해 협력업체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 강구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정기평가 이후에도 기업 재무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엄정한 옥석가리기를 통한 선제적 기업구조조정을 상시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