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대선 후 금리급등 국내 은행권 핵심 리스크”

디지털경제입력 :2016/12/05 14:59

송주영 기자

미국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금리 급등 문제가 우리나라 은행권의 핵심 위험 요인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소득층, 다중채무자, 한계기업의 부채 상환능력이 악화되면서 은행들의 자기자본 관리 등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금융연구원 서정호 선임연구위원은 5일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은행산업 전망과 리스크 요인 점검 세미나’에서 ‘신행정부의 금융정책과 국내 은행권 과제’를 주제로 발표하면서 미국 금융정책 방향은 규제 완화쪽으로 전환될 것으로 분석했다.

그는 향후 금리급등에 따른 은행의 자기자본관리 중요성을 강조하며 “아울러 최근 은행 대출금리 상승은 주로 시장 조달금리 변동에 기인했으며 국내 은행 대출금리는 국제 시장에 비해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없다”고 언급했다.

이어 “은행 가산금리 상승시 반드시 이익증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은행은 수익원 다각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대선 이후 해외시장 동향 및 향후전망’을 발표한 국제금융센터 김동완 금융시장실장은 미국 대선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은 미국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에 따라 변동성이 크게 확대된 후 다소 완화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인상 가능성, 달러화 강세, 보호무역주의 등으로 신흥국들은 리스크에 노출되고 불안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은행연합회와 한국금융연구원, 국제금융센터가 공동으로 개최한 ‘美 신정부 출범 이후 은행산업 전망과 리스크 요인 점검 세미나’는 미국 대선 이후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은행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리스크 요인 등을 살펴보고 그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