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시청각장애인 4명 중 3명은 재난보도의 사각지대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유승희 의원은 6일 국정감사에서 방송통신위원회가 우리나라 시청각장애인 36만 여명에게 장애인방송 수신기를 지원한 비율은 겨우 27.4%에 불과하다며, 시청각 장애인 73%가 재난보도의 사각지대에 있다고 주장했다.
유승희 의원이 공개한 지난해까지 누적 수신기 보급을 분류해 보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자막방송수신기 지원은 8만40명, 청각장애인을 위한 화면용 해설 방송 수신기 지원은 5만7천778명으로 4명 중 1명만이 지원을 받은 셈이다.

게다가 수신기 보급 사업은 지난 2000년부터 정부가 진행한 사업이나 예산편성은 미미한 수준으로, 올해 예산은 지난해 30억4천200만원에서 28억5천800만원으로 삭감됐다.
관련기사
- 방통위, 시청각장애인용TV 보급 시작2016.10.06
- 방통위, 장애인방송 편성목표 97.2% 달성2016.10.06
- 시각장애인이 헤드셋 쓰니 장애물 보이네2016.10.06
- KT 올레tv, 시청각장애인 영화 VOD 서비스2016.10.06
유승희 의원은 “방송통신발전기본법에 명시된 국가재난주관 방송사인 KBS는 노약자, 심신장애인, 외국인 등 재난 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 정보전달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2014년 세월호 사건 이후 15개 언론단체가 선포한 재난보도준칙에도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이어, “재난 약자인 시청각 장애인들이 긴급 상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재난방송 서비스의 질적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