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이번주에는 파업을 벌이지 않고 정상조업을 진행한다. 여론 악화와 정부의 긴급조정권 검토 시사 등에 부담을 느낀 조치로 풀이된다.
5일 현대차 노조에 따르면 전날 오후 울산공장에서 제14차 중앙쟁의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올해 임금협상 관련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노조는 이날 회의에서 오는 11일까지는 정상근무키로 결정했다.
다만 이 기간 잠시 파업을 중단하는 대신 농성과 규탄집회를 통해 사측과 관계당국을 압박한다는 방침이다. 또 12일까지 임금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을 경우 다시 파업 돌입을 검토키로 했다. 사측의 교섭 재개 요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노조는 5일 오후 회사 규탄 집회을 열고 울산공장 본관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일 예정이다. 또 같은 날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 앞에서 노조 간부를 중심으로 노숙투쟁을 진행한다. 이어 6일에는 대의원들이 울산시청을 항의 방문해 규탄 집회를 열고, 7일에는 정부 세종청사 고용노동부를 찾아 규탄 집회를 열 예정이다.
노조는 정부의 긴급조정권이 발동되면 곧바로 임시 대의원대회를 소집, 파업 계획을 세운다는 방침이다. 이기권 고용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현대차 노조의 파업에 대해 긴급조정명령 발동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대차는 올해 협상 과정에서 노조의 특근 거부와 24차례에 걸친 파업으로 인해 13만1천여대의 차량을 생산하지 못해 약 2조9천억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노조가 추가 파업에 나설 경우 현대차의 손실은 3조원을 넘어서게 된다. 협력업체의 피해도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현대차의 1차 협력업체는 400여개다. 업계에서는 이번 파업으로 1차 협력업체의 납품 차질액만 이미 1조3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약 5천개 이상으로 추정되는 2·3차 협력업체까지 더하면 손실액은 약 4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노사는 앞서 지난 8월 24일 ▲임금 6만8천원 인상(기본급 5만8천원 인상 및 개인연금 1만원) ▲성과급 및 격려금 350% + 330만원 ▲재래시장 상품권 20만원 ▲주식 10주 지급 ▲임금피크제 확대 요구안 철회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은 1차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사측은 쟁점이었던 임금피크제 확대안도 철회했다. 하지만 같은달 27일 치러진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78.05%의 반대로 부결된 바 있다. 지난해 임금 8만5천원 인상과 성과금 400%+420만원에 합의한 것과 비교하면 지나치게 낮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게 반대 이유다.
관련기사
- 파업 차질에 부양책은 표류...내수절벽에 속타는 車업계2016.10.05
- 파업 직격탄...현대차, 9월 내수판매 20%↓2016.10.05
- 파업 손실 '3조' 육박...현대차 노사, 교섭 재개2016.10.05
- 현대차 임협 합의 또 불발...정부 개입 '초읽기'2016.10.05
사측은 지난달 27일 열린 제26차 교섭에서 기존 안보다 2천원 오른 기본급 7만원 인상을 비롯해 주간 연속 2교대 관련 10만 포인트를 지급하겠다고 제시했지만 노조 측은 또 다시 부족하다고 판단, 거부했다. 기본급 7만원 인상은 상여금과 일부 수당에까지 영향을 미쳐 근로자 1인당 150만원 이상의 인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은 다음날 열린 27차 교섭에서는 추가 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실적 부진과 경영 환경 악화 등을 감안하면 더 이상의 인상안을 내놓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파업으로 현대차는 국내시장 판매량이 전년동기 대비 20.0% 급감했다. 계열사인 기아차 역시 노조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로 내수가 14.9%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