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양희 “ICT-과학기술 분리 안돼...혁신 전담부처 필요”

간담회서 정부 조직개편 소신 밝혀

방송/통신입력 :2016/09/06 18:10

“전 세계적인 정부부처 발전 추세와도 맥락이 맞지 않는다. 수레바퀴는 앞으로 굴러가는 것이지 20년 전으로 회귀하는 정부조직은 새로운 국가 건설의 툴로써 적합하지 않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6일 출입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차기 정부조직 개편에서 미래부를 옛 정보통신부와 과학기술부로 분할하자는 주장에 대해 이 같이 잘라 말했다.

이어 최 장관은 “이렇게 주장하는 데는 나름의 근거와 논리가 있겠지만, 융합과 혁신 등 비전을 현실화하고 이를 설계하는 부처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미래부의 존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장관은 “미래부가 박근혜 정부에서 새롭게 출범한 정부부처이고 과학과 ICT를 담당하는 융합형 부처로써 창조경제 정책을 추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며 “이러한 사실 때문에 미래부가 어떻게 유지될 것인가에 대한 막연한 궁금증만 있었는데 내년 대선을 앞두고 본격적인 얘기들이 나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그는 “이러한 관심을 받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라면서 “하지만 국가의 장래를 위해서 혁신을 담당하는 부처가 필요하고 최근 영국에서도 비슷한 조직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는 모든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또 “향후 미래부라는 이름이 바뀌거나 현재와 똑같은 모습일지는 모르겠지만, 혁신을 위한 전담부처가 존재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특히, 최 장관은 미래부 출범 이후 주요 보직을 과학 관료가 아닌 기획재정부나 ICT 관료들이 차지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경험이 쌓이면서 과학 관료가 되는 것이지 처음부터 과학 관료는 없다”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쌓은 넓은 시야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으로 이끌어가는 소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장관은 “전략이나 방침은 바뀌었는데 현실은 바뀌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 이러한 것이 누적 되다보니 과학 관료가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 것 같다”며 “하지만 경험이 쌓이면서 과학 관료가 되는 것인데, 오히려 넓은 시야를 갖는 것이 필요하며 지금은 부처 간 융합이나 협업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